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박물관 소장 후한경(後漢鏡)에 표현된 유교 도상 분석

이용수 16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Image of Confucianism in the Later Han Mirror in American Museums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홍인국(Hong, In-Gook)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3호, 63~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한경(後漢鏡)은 기원후부터 중국 전역은 물론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걸쳐 400년간 출현하였다. 한반도에 유입된 것은 삼국시대로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사신이나 서수를 주제문양으로 장식한 수대경(獸帶鏡), 뿔이 있는 용과 호랑이 문양을 부조로 장식한 반룡경(盤龍鏡), 신선사상에 근거하여 동왕공과 서왕모의 신상과 용과 호랑이를 표현한 신수경(神獸鏡), 신수경보다 다양한 문양소재와 신화적 내용을 담은 화상경(畵像鏡)이다. 그중 화상경의 도상은 광범위하게 유포되었던 동왕공과 서왕모의 전설 등 신선세계에 대한 그리움을 도해로 채택하였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당시 유교가 국교가 되면서 유교적 전통에서 성인다운 삶이나 영웅다운 행적을 살았던 인물들을 묘사하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유교의 주요 도상인 요순(堯舜)과 주(周)의 문왕(文王)이라든가, 효자 동영(董永)의 고사 등은 유교적 세계관과 부합된다. 이는 후한대 이전까지 부장품으로써 동경은 내세에 중점을 맞췄다면, 이후에는 현세의 지향점 즉, 교화를 목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유교 도상을 표현한 후한경은 유교가 국교로 되면서 내세에 대한 그리움과 현세에 대한 욕구가 동경의 작은 공간에 응축되어 새롭게 창안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제까지 신선사상에 근거하여 명문 위주로 설명하는 기존 전시방식에서 벗어남은 물론, 그 기능 또한 위세품이 아닌 교화 목적의 사여품으로 변화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통해 후한경 도상이 지니는 의미를 박물관 전시에서 새롭게 평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Later Han mirror has been appeared throughout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for 400 years. The inflow into the Korean Peninsula wa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ich is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classified mirrors are as follows. There are Mirror with Animal Design, which decorates an envoy or ordinal tree with a theme pattern, Mirror with wave bands and dragons with horned dragon and tiger patterns, and deity and beast mirror, which expresses the statue of a god and a dragon and tiger based on fresh ideas. In addition, there is a Pictorial mirror that contains a variety of patterns and mythical content than the deity and beast mirror. Among them, the iconography of the “Pictural Mirror” adopted the longing for the new world, including the widely distributed legends of the King Father of the East and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hat I found interesting was that it depicted figures who lived a Confucian adult life or heroic deeds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becoming a state religion at the time. For example, the main figures of Confucianism, such as Yao and Shun, King Wen of Zhou, and the death of the filial son Dong Yong, are in line with the Confucian worldview. Through this, if the Bronze Mirror focused on the afterlife as a burial product before the Later Han Dynasty, it can be estimated that it was expressed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present world after the Later Han Dynasty. Later Han mirror, which expresses Confucianism in this way, seems to have been newly created by condensing the longing for the afterlife and the desire for the present world into the small space of the bronze mirror as Confucianism became a state religion.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so far, not only has it deviated from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 of mainly explaining Phrases based on fresh ideas, but its function has also changed to gifts for edification purposes, not prestige good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meaning of the Later Han mirror painting can be newly evaluated at the museum exhibi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시대 유입된 후한경의 유형별 특징
Ⅲ. 새롭게 발견된 유교 도상의 해석
Ⅳ. 유교 도상 후한경의 삼국 유입 검토
Ⅴ. 박물관 전시의 실상과 개선방안 모색 : 맺음말을 대신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인국(Hong, In-Gook). (2022).미국 박물관 소장 후한경(後漢鏡)에 표현된 유교 도상 분석. 박물관학보, (), 63-86

MLA

홍인국(Hong, In-Gook). "미국 박물관 소장 후한경(後漢鏡)에 표현된 유교 도상 분석." 박물관학보, (2022): 6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