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간전승유산 전시의 전제로서 전승지식 해석

이용수 15

영문명
Interpretation of Transmitted Knowledge as a Premise for the Exhibition of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배영동(Bae, Young-Dong)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3호, 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물관 전시는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그런데 박물관 전시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데 그치는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박물관에서 관람객은 문화유산을 구경하는 데 만족해야 한다. 물론 진귀한 문화유산의 경우에는 구경만 해도 관람객에게 감동을 준다. 하지만 진귀한 문화유산이 아니라면 문화유산에 대해 ‘해석된 사실’을 전시로 전달할 때 전시의 메시지가 선명해진다. 문화유산 가운데서 사람들의 생활 속에 전승되던 민간전승유산에는 전승지식이 담겨있다. 전승지식은 경험지식으로서, 사람들 사이에서 사회적 상황에 대한 적절한 판단과 이해와 소통을 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것이다. 전승지식은 민간전승유산의 내부에 문화적 논리, 상징적 문화 코드, 문화적 암호, 생활의 수수께끼처럼 존재한다. 전승지식 해석은 이처럼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문화적 사실의 이치를 문화적 맥락 속에서 풀어서 설명하는 것이다. 박물관은 관람객에게 민간전승유산에 대해 적합한 이해를 하도록 돕는 전시를 해야 한다. 이런 전시를 하기 위해서는 민간전승유산에 담긴 전승지식 해석이 필요하다. 민간전승유산이 유형문화유산이든 무형문화유산이든 그것이 어떻게 생산 또는 형성되고 어떻게 사용 또는 실천된 것인지에 관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전승지식이 해석되어야 한다. 민간전승유산의 문화적 맥락에 따른 전승지식 해석은 해당 민간전승유산을 사용하고 전승한 사람들의 관습적 ‘행위체계’나 ‘이념체계’ 속에서 학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An exhibition in museum should start from the inquiry on what to do and how to do the exhibition.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number of museum exhibition displaying the tendency of simply introducing the cultural heritage. Audiences in such museum are satisfied by enjoying the views of cultural heritage only. To be sure, those rare cultural heritage bring heart-warming inspiration for audiences just by viewing them. However, if it is not a rare cultural heritage, the message of exhibition will be clarified when the ‘interpreted fact’ on the cultural heritage is conveyed through exhibition. From various types of cultural heritage, thos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handed down within the ordinary living situation contain the transmitted knowledge. The transmitted knowledge is experienced knowledge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a significant time for appropriate discretio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n the social circumstance among people. The transmitted knowledge exists in cultural logic, symbolic cultural code, cultural encryption, or riddles in living within th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nsmitted knowledge describes the logical reasoning of such complicated and inter-bonding culture facts within the cultural context. The museum should have the exhibitions to help 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for audiences. In order to undertake this type of exhibitions, it requires the interpretation of transmitted knowledge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The transmitted knowledge has to be interpretated under the cultural context on how th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irrespective of its nature as a tangible cultural heritage 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r how it is produced, established, used or practiced.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nsmitted knowledge following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is to academically describe the people who used and handed down the applicable traditional folk cultural heritage within the customary ‘behavioral system’ or ‘ideological system’.

목차

Ⅰ. 머리말
Ⅱ. 체화(體化)된 전승문화의 전승지식
Ⅲ. 유형문화유산에 담긴 전승지식 해석
Ⅳ. 무형문화유산에 담긴 전승지식 해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영동(Bae, Young-Dong). (2022).민간전승유산 전시의 전제로서 전승지식 해석. 박물관학보, (), 1-35

MLA

배영동(Bae, Young-Dong). "민간전승유산 전시의 전제로서 전승지식 해석." 박물관학보, (2022): 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