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이용수 88

영문명
The Mediated Effects of Ego-identity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임지원(Jiwon Im) 이용남(Yongnam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15~12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3학년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애착. 자아정체감, 학교적응의 측정변수들의 상관관계 결과 모두 정적 상관이 있고 유의하였다. 둘째, 또래애착을 예언변수로 학교적응을 결과변수로 자아정체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연구모형이 경합모형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셋째, 또래애착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수록 학교적응이 높았다. 다섯째,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것은 또래애착에 관해 청소년이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이는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심리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상담 및 교육, 제도적인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verify mediated effects of ego identity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ur hundred three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218boys, 186girls) completed questionnaire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result. First, positive cor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Ego-identity, School adjustment all significant. Second, the research model that set peer attachment as the predicting variable, school adjustment as the outcome variable, and ego-identity as the mediating variable showed higher goodness-of-fit than the competing model. ego-ident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creation of a more positive ego-identity showed higher school adjustment. fifth, ego-identit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implies that adolescents influence ego-identity regarding peer attachment and that thi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원(Jiwon Im),이용남(Yongnam Lee). (2015).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교육연구, 38 , 115-129

MLA

임지원(Jiwon Im),이용남(Yongnam Lee). "또래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교육연구, 38.(2015): 115-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