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이용수 40

영문명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곽유미(Yumi Kwak) 김신(Shin Kim) 박진수(Jinsu Park) 장윤석(Yunseok Jang) 윤혜영(Hyeyoung Yoon) 홍성희(Seonghee Hong)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31~1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39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척도, 다문화 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요인 중 개방과 수용, 실천 의지에서, 다문화 인식의 하위 요인 중 다문화 수용성에서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인식의 다문화 태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다문화 태도 총 변화량의 74%가 다문화 인식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해 학생들이 갖는 인식이 다문화에 대한 태도를 결정한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 확장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폭넓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n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o one-hundred thirty-nin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and 11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on above average.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measured variable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Third, analyse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showed that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in ‘openness and acceptance’, ‘commitmen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74% of the total varia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explain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This resul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attitude depends upon multicultural awareness.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유미(Yumi Kwak),김신(Shin Kim),박진수(Jinsu Park),장윤석(Yunseok Jang),윤혜영(Hyeyoung Yoon),홍성희(Seonghee Hong). (2015).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교육연구, 38 , 131-148

MLA

곽유미(Yumi Kwak),김신(Shin Kim),박진수(Jinsu Park),장윤석(Yunseok Jang),윤혜영(Hyeyoung Yoon),홍성희(Seonghee Hong).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교육연구, 38.(2015): 13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