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 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이용수 108

영문명
Daily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신현숙(Hyeonsook Shi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행복에 대한 상향식 접근과 토착심리 관점에서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구체적이고 소소한 행복 경험들에 주목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고등학교 2학년 1,599명이 일상생활에서 가지는 주관적 행복감 수준과 일상적 행복 경험(행복한 이유, 활동, 장소, 대상) 및 불행 경험(행복하지 않은 이유, 활동, 장소, 대상)을 알아보는데 있다. 첫째, 주관적 행복감 수준에 대한 2원 분산분석 결과,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교급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성별과 학교급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두 집단에서 학교급이 높을 수록 주관적 행복감 수준이 낮았다. 둘째,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에 대한 개방형 자유응답의 내용을 범주화하고 각 학교급의 범주별 응답 빈도를 산출하였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원만한 인간관계를 행복의 이유로 기술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일상적 즐거움, 심리적 안정, 자율 및 자유, 성공경험 등이 언급되었다.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친구와 함께 활동이나 대화를 할 때 행복하다고 보고하였지만, 행복한 활동의 다음 순서는 학교급에 따라 달랐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집을, 두 번째로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행복을 느끼게 하는 대상으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가족을,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친구를 언급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인간관계 문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는 학업 및 입시 스트레스를 불행의 이유로 기술하였다. 불행한 활동으로는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공부를 언급하였고, 초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숙제를, 중・고등학생 집단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는 자유를 억압하고 강요하는 활동을 불행한 활동이라고 기술하였다. 불행을 느끼게 하는 장소로는 초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원을, 고등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학교를 언급하였다. 학교, 학원, 기타 공부장소를 모두 합하면, 각 학교급의 절반 정도가 공부와 관련된 장소에서 불행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초・중학생 집단에서 가장 많은 수가 또래를,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낯설고 친하지 않은 사람을 불행의 대상으로 보고하였다. 요약하면,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의 범주 구분이 모든 학교급에서 비슷하지만, 일부 범주의 응답 빈도는 학교급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영문 초록

From the bottom-up perspective and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toward happiness, this study explored daily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single-item scale measuring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nd open-ended free-response questions inquiring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were administered to 1,599 Korean students in Grades 5 through 11. First, in both genders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lower the level of the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Second, the content analysis on free responses revealed that categorical classifications of daily happy and unhappy experiences are similar across school levels but response percentages per category are somewhat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The majority of students stated that they felt happy because of good interpersonal relations, when engaging in activities and conversations with friends, and at home.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amily whereas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elt happy with their friends. Unhappiness was due to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tres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work was the number one unhappy activity in all school levels. Homework was the second unhappy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reedom-stifling activit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were the number one unhappy pla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schools for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feeling unhappy in school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other study places totaled almost 50%. The largest number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peers but that in the high school level felt unhappy with strangers/unfamiliar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숙(Hyeonsook Shin). (2015).초·중 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교육연구, 38 , 1-28

MLA

신현숙(Hyeonsook Shin). "초·중 고등학생의 일상적 행복 및 불행 경험." 교육연구, 38.(201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