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집단협동학습을 활용하는 중국어회화수업이 말하기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3

영문명
The Effects of High School Chinese Class Using Small Group Cooper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옥전(Yuquan Li) 이용남(Yongnam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89~20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중국어 방과 후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협동학습을 선택하여 고등학교 초급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적응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현 교육현장이 가지는 외국어 학습의 제약점을 보완하고 초급 중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담양에 소재의 H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0차시의 실험연구를 진행되었다. 사전 말하기 사전 말하기 점수와 사후 말하기 점수를 분석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은 중국어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설문을 통해 사전・사후 학습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집단 협동학습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중국어 말하기 평가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 학습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발화의 기회가 증가하였고 질적인 면에서도 협동학습 과업 해결을 위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또한 팀 점수를 높이기 위해 구성원 모두가 서로 돕고 가르쳐 주는 소집단 내의 긍정적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말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한 중국어 학습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유효한 결론을 도출해 내었고 소집단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중국어의 말하기 뿐 만 아니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에도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ducation method of elevating Chinese speaking skill for high school Chinese learning beginner by using STAD(Student Team Achivement Divisions), that is one of the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tools focusing learner. For this purpose, I applied STAD to high school chinese speaking education. Then I analyzed the rusult in order to make up for defects of the present high schoo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was excuted for Chinese learner of N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for four weeks. To verify influence on Chinese speaking of STAD by comparing pre-Chinese speaking score with post-Chinse speaking score. The questionnaires was used to examine a change of pre-post Chinese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using the SPSS 12.0 software which resul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test. To summarize, First,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between the experiment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in Chinese speaking improvement. It s consider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d chances of speaking in a quantitative respect. also cooperative learning made the students more comunicative in a qualitative respect. Because the students actively needed to talk with each other to solve classwork. In addition, the students had to cooperate with other students for getting more higher score in a Chinese test. Second,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Chinese learning attitude. Because the students got more confident about Chinese throughout group compensation based on individual Chinese learning improvement contribution. Third, the student could study more efficiently by exchanging information regarding Chinese with their friends in a basic group. besides,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for every level s Chinese learner. In particular, the student in the upper level made a progress of cognitive elaboration and the low level student could reflect on virtues and faults of high level student s learning methods by watching them. This study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Chinese speaking in high school education was effective as the results showed. I suggest that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not only Chinese speaking but also listening, writing, read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옥전(Yuquan Li),이용남(Yongnam Lee). (2015).소집단협동학습을 활용하는 중국어회화수업이 말하기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38 , 189-204

MLA

이옥전(Yuquan Li),이용남(Yongnam Lee). "소집단협동학습을 활용하는 중국어회화수업이 말하기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38.(2015): 18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