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23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왕만(Man Wang) 이용남(Yongnam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63~1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아졌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지 않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Between of 4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t B University of A city, a total of 330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Spss 20.0 and AMOS 20.0 conducted to text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ssive coping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proactive coping strategy used as a way of adapting to stress improve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y lowers it.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mplied that higher social support help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tress coping strategy affect social support.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while passive coping strategy have not an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d a mediated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means that those who used proactive coping strategy become more capable of recognizing social support that is available around them through emotional reinforcement and they are also more capable of utilizing them. Howeve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passive coping strateg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hoed that soci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that could help stress coping strategy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which will greatly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djust to their college life bet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만(Man Wang),이용남(Yongnam Lee). (2015).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연구, 38 , 163-188

MLA

왕만(Man Wang),이용남(Yongnam Lee).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연구, 38.(2015): 163-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