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이용수 16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esting Mediating Effect of Peer relationship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손자령(ZiLing Sun) 이용남(Yongnam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8권, 149~1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하남성 G시 초등학교에서 300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분석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는데, 분석결과 완전매개모형보다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애착을 독립변수, 학교생활적응을 종속변수, 그리고 또래관계를 매개변수로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모애착 → 학교생활적응, 모애착 → 또래관계,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의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Peer relationship could be work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association of Mother attachment with School life adjustment. Three hundred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city of he nan province were responded to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s were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SEM indicated that Peer relationship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is finding supported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the Moth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diated by Peer relationship variab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자령(ZiLing Sun),이용남(Yongnam Lee). (2015).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교육연구, 38 , 149-162

MLA

손자령(ZiLing Sun),이용남(Yongnam Lee). "중국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교육연구, 38.(2015): 149-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