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포츠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가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Obligation of Nation and Local provinces for Sports Right Guarantee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白允喆(YUNCHUL BAEK)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11권 제4호, 193~2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기결정권의 범위에 의하면 스포츠권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포츠권은 헌법상 제10조를 근거로 하여 보장되고, 이러한 스포츠권은 헌법과 관련된 스포츠 선수의 직업선택의 자유의 보장, 스포츠선수의 이적의 자유, 스포츠 선수의 프라버시권, 근로3권 등이 함께 보장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스포츠권은 주관적으로는 개인을 위한 주관적 공권으로서 대국가적 효력이 있다. 즉 국가는 국민의 스포츠권을 소극적으로는 침해금지의무와 적극적 효력으로는 스포츠권 적극보호가 있다. 그리고 스포츠권은 객관적으로는 국가의 가치질서로서의 성격으로 파급효과 내지 방사효과와 제도보장이 있고, 파급효과에는 대국가적 효력으로 국가권력 스포츠권기속성과 대사인적 효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근거하에 스포츠권에 대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에 대하여 보장할 책무를 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ports liberty is included by the sphere of self-decision right in the constitution. and this sports liberty is guaranteed the Chart 10 in the constitution the freedom of speech. so I think that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e freedom to occupation, the freedom to move, the freedom to privacy, the freedom to laber 3 rights and so on or The sports human right have effect on individual and objective values. therefore Nation and Local provinces discharge people´s obligation of the sports human right in the constitu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헌법상 자기결정권과 스포츠권
Ⅲ. 스포츠권의 의의와 내용
Ⅳ. 스포츠권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에 관한 법적 근거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개정과 스포츠기본권의 보장
-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과 변천과정 고찰
-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기본조례의 현상과 과제」 토론문
-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에 대하여
- 독일 해고제한법상 트레이너에 대한 해고가능성
- 헌법개정과 스포츠기본권의 보장에 관한 토론문
-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에 대하여
- 스포츠법체계
- 스포츠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가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과 변천과정 고찰
- 스포츠법에 대한 법이론적 접근
- 기본적 권리로서의 스포츠권의 옹호와 국민스포츠진흥
- 스포츠산업 진흥법에 관한 연구
-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
- 스포츠토토와 사행성 사업의 규제문제
- 윤용택 교수 발제문에 대한 토론문
- 한국헌법에 있어서의 스포츠조항의 위치
- 스포츠토토와 사행성사업의 규제문제
- Legal Protection of Sport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스포츠도핑의 입증책임
- 憲法におけるスポーツ条項の位置づけについての: 考察 ―中南米諸国の実例をも訪ねて
- 유럽연합의 스포츠 법 정책
- 한국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기본 조례 제정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 헌법개정
- 스포츠권의 법적 성격
-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에 대한 토론요지
- 『스포츠산업 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토론문
- 경륜·경정·체육진흥투표권(sports toto: 이하 ‘토토’)을 사행산업이라고 볼 것인가?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법(이하‘사통위법’2007.1제정)의 문제점은?
- 스포츠권에 관한 입법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