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교육을 위한 어린이 체험 키트 개발연구 -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324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Experience Kits for Online Education - Focusing on museum cases -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채정아(Chae, Jung-Ah) 김연희()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0호, 259~2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화되었다. 박물관도 예외는 아니다. 박물관의 주요 사업인 전시와 관람은 물론, 체험과 교육프로그램도 대부분 온라인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비대면 소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상호교류가 가능하며 VR, AR 등 디지털 기술기반의 전시와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유물을 직접보고 느끼며 관찰하여 진행되는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할 때,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양질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박물관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ADDIE 교수·학습 설계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박물관 및 지역사 연계 교육프로그램에 활용 가능한 교육 키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학습을 진행하고 현상을 관찰하며 온라인 교육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변화, 관계의 맥락적 변화 그리고 매체 변화의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박물관 교육이 나아갈 방향성과 학습의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대안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Today, the spread of COVID-19 has brought radical changes in society at large, and museums are no exception. Not only exhibition of works and museum tour, which are the main businesses of museums, but also experience and education programs are mostly being operated online. In additi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resents diverse ways fo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utual interchange can be made anytime online as well as offline,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 program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VR and AR are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museum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by seeing, feeling and observing artifacts, high-quality research on online education programs is urgently needed. Thus, this study presented a systematic ADDIE teaching-learning design model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online education program cases, and based on them, it developed an educational kit that could be used for museum and local history-linked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of environmental changes, contextual changes in relationships, and media changes were found in online education during the progress of learning and observation of the phenomen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박물관 교육의 기능
2. 지역사 기반 박물관 교육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교육 및 사례
Ⅲ. 연구방법
1. 연구 신뢰성과 타당성
2. 연구 방법론 및 모형 설계
3. 연구 참여자
4. 연구 자료수집 및 분석
Ⅳ. 박물관 온라인 교육 활용 체험 키트 개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정아(Chae, Jung-Ah),김연희(). (2021).온라인 교육을 위한 어린이 체험 키트 개발연구 -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40), 259-280

MLA

채정아(Chae, Jung-Ah),김연희(). "온라인 교육을 위한 어린이 체험 키트 개발연구 -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40(2021): 259-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