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28

영문명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toward Maker Educ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명성(Kim, Myoungsung)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51~7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영재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교육목표는 메이커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영재교육에서 메이커 교육의 도입과 관련하여,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메이커 교육을 구성하는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B시의 영재교육기관과 영재학급에서 영재를 지도하는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으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메이커 스페이스 설치, 과정 기록과 평가, 교사 연수와 지원 체제 등에서 인식이 높았던 반면, 교수 학습 모형, 메이커 스페이스의 영역 구성, 자료와 도구 활용 등에서는 평균치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은 영재 담당 영역, 지도 경력, 연수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메이커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연수의 방향이 올바르고, 프로그램이 생산적이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gifted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realized through maker education. To be the part of maker education in gifted educa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in relation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rea in charge of gifted students,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Metho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cusing on six areas that constitute maker educ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68 instructors who instruct gifted students at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gifted classes in city B,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instructo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had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value of maker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maker space, process recording and evaluation, and instructor training and support system, etc., while in the teaching/learning model, makerspace domain composition, and data and tool use, it was relatively low at the average level awarenes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instructors for gifted education on maker education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in charge, teaching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training on maker education to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raining must be correct, and the program must be producti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성(Kim, Myoungsung). (2021).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1 (2), 51-75

MLA

김명성(Kim, Myoungsung).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영재 담당 교사들의 인식." 교육혁신연구, 31.2(2021): 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