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연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 탐색

이용수 176

영문명
Exploring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ecure the link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curriculum competenci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이승미(Lee, Seung-Mi)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297~32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 개선에 중점을 둔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육과정 국제비교를 통해 각 나라의 핵심역량 선정 및 조직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장학사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교육과정에서 반영되어야 할 핵심역량을 도출하였으며, 이론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핵심역량의 조직 방안으로서 핵심역량 범주화(안)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간의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핵심역량이 교과 역량 개발에 주는 함의가 명료해야 하고 핵심역량의 수가 적정화되어야 한다. 이는 핵심역량을 범주화하여 세 가지 항목 정도로 제시하여 각 핵심역량의 범주가 교과 역량 개발에 유의미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차기 교육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역량 범주(안)으로 ‘탐구하는 학습자’, ‘참여 협력하는 공동체인’, ‘성찰 발전하는 생활인’을 도출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핵심역량 범주화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교과 역량을 성취기준으로 구체화하는 방식,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이라는 용어 자체의 적용 여부, 핵심역량 범주와 추구하는 인간상의 위상 및 역할 등에 대한 후속 연구와 폭넓은 대상자의 의견을 수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select and organize core competencies with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linkage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Method: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country were selected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reflected in the future curriculum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supervisors and teachers. Thir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oretical and field experts to develop a plan for organizing core competencies and categorizing core competencies as examples of their application. Results: In order to secure a link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the implications of each core competency in developing subject competencies must be clear and the number of core competencies must be optimized. This can be embodied in such a way that each category of core competencies provides significant direction in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mpetencies by categorizing core competencies and presenting them as three items.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y categori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next curriculum were developed as exploring learners , participating and cooperating persons of communities , and reflecting and developing living persons . Conclusion: In order for the categorization of core competencies developed in this study to be effective,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irst, the method of specifying subject competency as an achievement standard, second, whether the terms core competency and subject competency are appli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itself, third, the core competency category and the status and role of the human being pursued, fourth, gathering opinions from a wider audi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미(Lee, Seung-Mi). (2021).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연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31 (2), 297-321

MLA

이승미(Lee, Seung-Mi).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연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선정 및 조직 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31.2(2021): 297-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