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직업 정체성 인식

이용수 74

영문명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identity working in a daycare center specializing in infa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허선미(Heo, Sun-Mi) 황순영(Hwang, Soon-Young)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323~34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업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5개의 시도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유아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페이스톡과 전화통화를 통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교사처우를 당연히 받아들이며 그저 힘들게 봉사만 해야하는 봉사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유아의 장애정도가 심하여 주로 보육시간이 길다보니 보육 위주의 시스템으로 운영됨에 따라 자신이 유아특수교사인지 보육교사인지 직업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을 교육·보육기관의 개념이 아닌 만족스러운 보수와 근무환경을 제공하는 직업으로 여기는 유아특수교사도 있었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본인이 유일한 특수교육 전문가로 인식하며 사명감을 가지고 장애영유아의 보육 및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업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되고 있으며, 발전적인 방향으로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ir job identity based on their job experience as a special teacher working at a daycare center specializing in infa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o this, 8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at daycare centers specializing in infants with disabilities in five cities and provinces for more than three year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rough face talk and phone call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specializing in infants with disabilities took the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teachers and recognized them as volunteers who had to work hard. Second, since the degree of disability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is severe and the daycare time is long, they were feeling confused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y whether they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nursery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recognized daycare centers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s a job that provides satisfactory remuner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rather than concepts of educational and childcare institutions. Third, the daycare center recognized him/her as the only special education expert, so he/she was doing his/her best in education and daycare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with a sense of dut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the job identity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specializing in infants with disabilities is not fixed, but changed by interactions with various environments, and suggested ways to form an identity in a developmental dir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선미(Heo, Sun-Mi),황순영(Hwang, Soon-Young). (2021).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직업 정체성 인식. 교육혁신연구, 31 (2), 323-344

MLA

허선미(Heo, Sun-Mi),황순영(Hwang, Soon-Young).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직업 정체성 인식." 교육혁신연구, 31.2(2021): 323-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