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의 자기공감 학습전략 분석

이용수 126

영문명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현지(Kim, Hyunji) 김진아(Kim, Jinah) 한우진(Han, Woojin) 이수지(Lee, Suji) 이상수(Lee, Sangsoo)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21~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성취도에 따라 학습 상황에서 사용하는 자기공감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자기공감 학습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P대학의 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 두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사용한 자기공감 학습전략은 인지적 자기공감, 정서적 자기공감, 태도적 자기공감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각 범주별로 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의 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인지적 자기공감에서 성적우수자는 학업 성패에 대한 귀인을 자신의 내부로 두고 다양한 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사경고자는 귀인을 외부로 두며 조절 전략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기공감에서 성적우수자는 학습 상황에서 긍정정서와부정정서를 인식하며,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적응적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학사경고자는 정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정정서에 대한 인식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부적응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적 자기공감에서 성적우수자는 긍정적 자기 가치와 내적 동기, 학습 태도 관리 및 성찰에 대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사경고자는 자기 가치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고, 학습 동기가 부여되지 않거나 외적요인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며 자신의 태도를 관리하고 성찰하는 전략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대학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자기공감을 바탕으로 한 학습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인지, 정서, 태도적 영역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학습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과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학습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empathy learn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with high and low grades according to GPA. Method: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to analyze the content of interviews with each higher and lower GPA group at P University. Results: Self-empathy learning strategies that students used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cognitive self-empathy, emotional self-empathy, and attitudinal self-empathy. First, in cognitive self-empathy, higher GPA group attributed their learning success and failure to internal causes and used various regulation strategies, while lower GPA group attributed their learning success and failure to external causes, and used less regulation strategies for learning. Second, in emotional self-empathy, higher GPA group recognize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learning situations, and used adaptive coping strategies to regulate emotions. However, lower GPA group did not recognize emotions well or perceived their negative emot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y tend to use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to control them. Third, in attitudinal self-empathy, higher GPA group had positive self-worth and intrinsic motivation. Also, they consistently managed and reflected on their learning, whereas lower GPA group tended to perceive their self-worth negatively, and were not motivated to learn or were motivated by external factors. Also, they rarely used strategies to manage and reflect on their learning. Conclusion: This exploration of self-empathy learning strategie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college students’ effective learning and the necessity to provide learning support programs that students can accurately recognize their learning process and take the initiative in learning based on comprehensive areas of cognition, emotion, and attitu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지(Kim, Hyunji),김진아(Kim, Jinah),한우진(Han, Woojin),이수지(Lee, Suji),이상수(Lee, Sangsoo). (2021).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의 자기공감 학습전략 분석. 교육혁신연구, 31 (2), 21-49

MLA

김현지(Kim, Hyunji),김진아(Kim, Jinah),한우진(Han, Woojin),이수지(Lee, Suji),이상수(Lee, Sangsoo). "성적우수자와 학사경고자의 자기공감 학습전략 분석." 교육혁신연구, 31.2(2021): 2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