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들뢰즈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자녀양육경험을 통한 아버지-되어가기의 의미

이용수 168

영문명
The Meaning of Becoming-Father through Experiencing Children Rearing from the Deleuzian Perspective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서미정(Seo, Mi-Jeong) 이연선(Lee, Youn-Su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267~2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을 존재론적 관점, 특히 들뢰즈의 실천철학에 근거하여 아버지 되어가기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아버지들이 자녀 양육 과정에서 그들만의 아버지 되어가기의 의미를 생성하고 찾게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만 0~5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4명을 대상으로 하여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들은 결혼 이전부터 아버지 존재에 대한 재인과 재현의 막연한 사유를 시작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들이 가졌던 막연한 사유는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낯선 기호인 아이를 만나면서 끊임없이 변이와 생성을 시작하였다. 아내, 직장 상황, 아이 주체와의 실존적 만남 등이 변화를 이끌었다. 셋째, 아버지들은 한 인간으로서 주체를 포기하지 않고 아이와 함께 끊임없이 탈주의 틈새를 찾으며 함께 변이해 나갔다. 가족이라는 공동체는 개별적 주체로 존재하는 한편 함께 ageing하며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그 과정은 노마디즘적 특성을 가지며 아버지-되어가기는 지극히 실존적이며 저마다 예측이 불가능하였다. 논의 및 결론: 첫째, 거대담론이나 사회적 분위기, 정책적 필요에 의해 바람직한 아버지가 유행처럼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비판적 시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많은 제도와 장치가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으나 여전히 직장생활 등 아버지를 둘러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아버지는 더딘 아버지 되어가기를 하고있다. 셋째, 현 시대의 요구와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특히 ‘친구 같은 아버지’가 좋은 아버지라고 부과된 역할이 각자의 맥락 속에서의 아버지 존재에 오히려 중압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becoming-father based on the Deleuzian practical philos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xistential meaning of becoming-father in the process of child-rearing. Method: Participants were fathers who have children aged between o to 5. W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Results: First, fathers had a vague conception of being father coming from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before marriage. Their wives, the working condition and the existential encounters with children leads transformation. Second, fathers had been experiencing continuous transmutation and beings from the moment their child was born. Third, the fathers were constantly looking for “crack to escape” with their children without giving up their beings as subject. The family community exists as individual agencies at the same time each of them have been aging and growing together. Conclusion: First, we must critically see whether the good father is being talked about in fashion within meta discourse. Second, in spite of various national policy supports for fathers, fathers took this slow to become fathers under surrounded by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working condition. Third, the image and informed role of ‘good father’ coming from the contemporary social demand and atmosphere could work rather as pressure on father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미정(Seo, Mi-Jeong),이연선(Lee, Youn-Sun). (2021).들뢰즈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자녀양육경험을 통한 아버지-되어가기의 의미. 교육혁신연구, 31 (2), 267-295

MLA

서미정(Seo, Mi-Jeong),이연선(Lee, Youn-Sun). "들뢰즈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자녀양육경험을 통한 아버지-되어가기의 의미." 교육혁신연구, 31.2(2021): 267-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