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ase Study of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m Engeström’s Expansive Learning Perspective

이용수 84

영문명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이승민(Lee, Seung-Min) 김영환(Kim, Young-Hwa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1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사례 연구는 Engeström의 확장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 COVID-19에 따른 원격수업을 준비하고 실행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자는 사례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로 3세대 활동이론에 해당하는 Engeström(1987)의 확장학습이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인 H초등학교는 교사 활동체계와 학생-부모 활동체계로 구분되었고, COVID-19에 따른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하였다. 심층 인터뷰와 보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활동주체 사이에는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가 존재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H초등학교는 원격수업관리위원회(OLMC)를 구성하여 원격수업에 관해 역량을 갖춘 교사가 동료교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들은 동료교사들을 위해 자신의 원격수업을 공개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동학년 교사들 사이에서는 자발적인 학습공동체가 형성되었다. 한편, OLMC는 원격수업에 따른 교수환경과 학습환경의 차이를 확인하고 학생-부모 활동체계가 가정에 효과적으로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였다. 논의 및 결론: 첫째, H초등학교의 교사 활동체계와 학생-부모 활동체계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적 긴장인 디지털 리터러시의 격차로 인해 모순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주체들은 협력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COVID-19에 따른 원격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H초등학교 활동체계들이 성찰의 과정을 반복하여 확장학습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learning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m Engeström’s expansive learning perspective. Method: We used Engeström(1987)’s theory of expansive learning, the third-generation activity theory,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Results: H Elementary School was divided into a teacher activity system and a student-and-parent activity system, and multi-voiceness emerged in response to COVID-19. Our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and auxiliary data revealed subjects’ digital literacy gap. To address this gap, the school formed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Committee (OLMC). The OLMC supported teachers with competencies in online learning to provide training to peer teachers. Also, peer teachers could observe their classes. This resulted in the spontaneous formation of a learning community among teachers of the same grade level.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n-campus and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the OLMC provided a home learning materials guide. Conclusion: First, a contradiction was formed due to the structural tension existing within and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and-parent activity systems in the school-namely, the digital literacy gap between subjects. Second, in the process of finding contradictions and reconciling them, it is necessary for subjects to have cooperative interactions. Third, the activity systems within H Elementary School exemplify expansive learning in that they repeat the process of reflec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민(Lee, Seung-Min),김영환(Kim, Young-Hwan). (2021).Case Study of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m Engeström’s Expansive Learning Perspective. 교육혁신연구, 31 (2), 1-19

MLA

이승민(Lee, Seung-Min),김영환(Kim, Young-Hwan). "Case Study of Onli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rom Engeström’s Expansive Learning Perspective." 교육혁신연구, 31.2(2021):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