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벨탑 이야기

이용수 99

영문명
The Tower of Babel : The Cultural Aspect of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유한구(Han-Koo Ryu)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우크쇼트의 두 편의 ‘바벨탑 이야기’는, 약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합리주의가 도덕적 삶에 끼치는 영향을 드러내고 있다. 합리주의는, 삶의 이상은 현재의 구체적 삶에 시간상 앞서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현재의 삶은 그러한 삶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합리주의는 우리의 삶에서 실천되고 있는 ‘행위전통’을 정당히 존중하지 않음으로써, 삶의 이상을 임의적인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개인의 사변적 사고로 좌지우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이상을 조금씩 실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도덕교육은 개인이 부지불식간에 실천하고 있는 도덕적 이상을 밝힘으로써, 우리의 삶 자체가 심성을 함양하는 장임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로 이 점에서 도덕교육의 문화적 차원을 밝히는 것은 우리의 삶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 의하면, 우리의 삶은 필요에 의해 지배되는 삶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갖추고 있는 심성을 조금씩 표현하면서 사는 삶이다.

영문 초록

Some different implications notwithstanding, the two versions of the Tower of Babel which are elaborated by Michael Oakeshott into more proper tellings explicate the impact of the rationalism on moral life. What he calls rationalism is a manner of thinking which strives to put stress on the Ideal independently of the concrete moral lives, and to regard the concrete moral lives as the means to achieving it. The rationalism seems the least amenable to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oral behavior, so that the rationalist stands for thought free from obligation to any authority.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re can be no place in our daily lives for fortifying power of his reason , only a place for making the Ideal manifest. Moral education in the proper sense aims at recovering the Ideal which is involved in each individual activity, and at recognizing our daily lives as the place for the cultivation of the primordial mind. Here, then, we can hold that the idea of metapraxis can shed light upon explaining the cultural aspect of moral education. From the metapractical standpoint, our daily lives is not to be identified with the immediate satisfaction of needs. Life must be lived as making primordial mind manifest.

목차

Ⅰ. 서론
Ⅱ. 바벨탑 이야기
Ⅲ. 바벨탑과 도덕교육의 문화적 차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한구(Han-Koo Ryu). (2010).바벨탑 이야기. 도덕교육연구, 21 (2), 1-32

MLA

유한구(Han-Koo Ryu). "바벨탑 이야기." 도덕교육연구, 21.2(2010):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