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희의 공부론

이용수 56

영문명
Chu Hsi 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김광민(Kwang-Min Kim)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181~2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함양(涵養)과 궁리(窮理)는 주희 공부론의 두 축이다. 감정과 사고가 생기기 전에도 공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소위 ‘미발함양’은, 개념적 사고가 중심이 되는 궁리와는 다른 방향의 공부로서, 마음의 수렴(靜)을 초점으로 하며, 바로 그 점에서 불교의 禪과 유사하다. 주희의 관점에서 불교의 禪수행은 수행에서 사고를 제거하는 방향을 취한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지만, 불교수행의 일반원리로서의 정혜쌍수(定慧雙修)는 함양·궁리의 관계와 면밀한 대응을 보여준다. 주희의 공부론에서 함양은 性을 매개로 하여 궁리와 순환하면서 수행자를 하늘의 경지로 이끈다. 함양과 궁리라는 상반된 방향의 공부가 순환 관계에 놓이면서 궁극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은, 함양에는 궁리의 측면이, 그리고 궁리에는 함양의 측면이 들어 있다는 점을 가정함으로써 성립 가능한 것이다. 이 가정은 공부의 최종상태인 中이 ‘靜’과 ‘動’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함양과 궁리의 순환에는 여전히 신비스러운 면이 있으며, 그 점에서 설명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영문 초록

The conjunction of ‘Mind-Cultivation’(涵養)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is the characteristics of Chu Hsi s theory of self-cultivation(工夫). Mind-Cultivation in the not-yet-manifested state (未發涵養), in which mental activities such as emotion and thoughtful deliberation have not yet aroused, is different from Investigation of Principle in that it emphasizes the calmness and concentration of mind. In this way, ‘Mind-Cultivation’ is similar to Meditation (禪) of Buddhism. Chu Hsi criticizes the Buddhist practice in his days because Meditation tries to eliminate consciousness and thought in Buddhist practice. But Interrelation of Cessation and Wisdom (定慧雙修) as the general principle of Buddhist practice corresponds to the relation between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According to Chu Hsi, ‘Mind-Cultivation’ is put in circulation with ‘Investigation of Principle’, which is mediated by Nature (性), and this circulation leads us to the Heaven (天). The possibility of unification of the two routes of self-cultivation, which can be further on the opposite direction, demands assumption that ‘Mind-Cultivation’ involves the side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involves the side of ‘Mind-Cultivation’. The assumption is intelligible in that Equilibrium (中) as the goal of self-cultivation represents both calmness (靜) and moving (動)(or illuminating (照)). But the circulation of ‘Mind-Cultivation’ and ‘Investigation of Principle’ is as mystic as ever, therefore it still leaves further explanations.

목차

Ⅰ. 서론
Ⅱ. 미발함양
Ⅲ.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Ⅳ.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민(Kwang-Min Kim). (2010).주희의 공부론. 도덕교육연구, 21 (2), 181-207

MLA

김광민(Kwang-Min Kim). "주희의 공부론." 도덕교육연구, 21.2(2010): 181-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