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화와 검」

이용수 53

영문명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 Japanese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이은경(Eun-Kyeung Lee)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95~11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네딕트의「국화와 검」을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다. ‘균형’이라는 개념은 일본인의 도덕관을 이해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이 균형은 삶에 관한 일본인의 깊은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인에게 있어서 삶은 딜레마로 가득 찬 ‘난국’으로 파악된다. 도덕적 삶은 그 난국의 ‘한 가운데’로 들어가 그 딜레마를 있는 그대로 온몸으로 느끼고 그것을 가시화한다. 의무체계들의 딜레마에서 균형을 유지하려는 개인의 주체적인 노력에 의하여, 인간의 삶은 한 가지 관점으로 결코 파악될 수 없는, 복잡한 ‘총체’라는 것이 확립된다. 이와 같은 일본인들의 도덕관은 도덕에 관한 오늘날 우리의 통념의 한계를 드러내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통념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덕인식론’이라는 새로운 인식론의 성립 가능성을 시사한다. 도덕인식론은, 도덕인식은 인식일반과 동일평면상의 인식이 아니라 인식일반이 심성함양의 통로가 된다는 것을 자신의 실천으로 확립하는 실천인식임을 밝히는 인식론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from the viewpoint of moral education. It sums up the Japanese behavior patterns which are mentioned in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and reveals the Japanese thought on the moral education and concept of morality which lies behind them. Then the common idea of moral education to be generally accepted in our society should be reviewed as mistaken. From the viewpoint of Japanese thought, it should be suggested the alternative idea to common idea, i. e. moral epistemology. According to Japanese thought,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o be put into the dilemma of virtues, and is to balance among virtues. The balance is too important in understanding Japanese thought on moral life, the balance which shows the deep insight of life as predicament . The moral life might be established as a whole by the ons s constant, despairing, spontaneous effort to balance among virtues in the midst of predicament. Then the knowledge is to be called moral knowledge as practice , in contrast with moral knowledge as guide and moral knowledge as theory implied in common idea. This knowledge is to be regarded as the practical knowledge that efforts to establish by ons s practice that the knowledge general is a way of cultivation of Mind.

목차

Ⅰ. 서론
Ⅱ. ‘균형’으로서의 도덕
Ⅲ. 도덕인식론의 탐색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경(Eun-Kyeung Lee). (2010).「국화와 검」. 도덕교육연구, 21 (2), 95-112

MLA

이은경(Eun-Kyeung Lee). "「국화와 검」." 도덕교육연구, 21.2(2010): 95-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