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우크쇼트의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이용수 177

영문명
Oakeshott s Conception of Education As a Poetic Convers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방진하(Jina Bhang)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307~3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우크쇼트에 의하면, 교육은 인간을 대화의 기술과 파트너십으로 입문시키는 일이다. 대화는 인간 활동의 여러 목소리가 자신의 어법을 가지면서도 다른 목소리와 소통하는 관계이며, 교육을 대화로의 입문으로 보는 이러한 관점은 인류의 문명 유산과 교육받은 인간에 관한 우리의 이해를 되돌아보게 한다. 대화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시의 목소리가 가진 어법이다. 시의 목소리가 들리는 대화는 대화에서 추구되어야 할 ‘진짜’ 목소리가 있음을 전제하지 않는다. 시적 대화에서는 누구나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이 다시 그 사실을 있게 한 ‘가능성’으로 환원된다. 또한 시적 대화에서는 서로 다른 어법을 가진 목소리들이 ‘관조’의 어법으로 서로 소통하게 된다. 시적 대화의 참여자들은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진위라는 목적에서 해방되어 ‘이미지-만들기’의 즐거움을 향유한다. 교육 장면에서 대화의 기술과 파트너십은 학생과의 대화에 변증법과 시(詩)를 가져오는 교사의 실제적 지식으로 구현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In the conversation we learn to recognize the voices, to distinguish the proper occasions of utterance.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there is no voice without an idiom of its own, and as a manner of speaking, each has a conversability. This relationship of conversation reminds us of the meaning of civilized human being as the inheritors of conversation. Plato s dialectic is to be considered as the art of conversation with which the certainties are made into the possible and the probable by questioning. In resemblance with dialectic, Oakeshott s conversation is impossible in the absence of a diversity of voices. Voices acknowledge each other and enjoy an oblique relationship which neither requires nor forecasts their being assimilated to one another. It is a conversation which goes on both in public and within each of ourselves as an educated person. Oakeshott s contemplating is a specific mode of imagining and moving about among images, different from both practical and scientific imaginings. It is playful and not businesslike, because it is free from care and released from both logical necessity and pragmatic requirements. It springs from the self-sufficiency enjoyed by each engagement and by image-making in the conversation. Teacher s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are revealed through his practical knowledge which brings dialectic and poetry into conversation with his students.

목차

Ⅰ. 논의의 배경 : ‘양상’에서 ‘목소리’로의 전환
Ⅱ. 대화의 변증법적 측면
Ⅲ. 대화의 시적(詩的) 측면
Ⅳ.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진하(Jina Bhang). (2010).오우크쇼트의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도덕교육연구, 21 (2), 307-334

MLA

방진하(Jina Bhang). "오우크쇼트의 ‘시적 대화’로서의 교육." 도덕교육연구, 21.2(2010): 307-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