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제적 양식의 공헌과 한계

이용수 329

영문명
Critical Study on Practical Mode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J. J. Schwab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채형(Chae-Hyeong Pra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231~2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슈왑은 타일러의 모형이 취하는 이러한 입장을 이론적 양식으로 규정하면서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실제적 양식을 내세운다. 슈왑의 그 시도를 정련된 형태로 보여주는 워커의 자연주의 모형에 따르면, 교육과정을 실지로 개발하는 일은 세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심리적 자원으로서의 강령, 강령에 바탕을 둔 집단적 논의의 과정으로서의 숙의, 숙의의 결과를 교육과정 문서로 번역하는 설계가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슈왑과 워커는 숙의의 활용에 관심을 집중시킨 나머지 그것의 심리적 자원인 강령을 외면하고 있다. 그들의 실제적 양식이 건전한 상식을 확인하고 선택하는 일로 전락하는 사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이론적 보완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forte and foible of practical mode for curriculum development devised by J. J. Schwab. Practical mode i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oretical mode is represented by Tyler s model on Curriculum that is consist of guiding principl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But, we do not have utilized the principle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actually. In this respect, Schwab gives us practical mode as an alternative to theoretical one. Following Walker s naturalistic model, practical mode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psychological resourc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named practical arts or platform, deliberation as process of collective decision making, design as activities to transform the products of it into educational documents. Among of them, deliberation is treated as the focal element in practical mode. In contrary, they give no attention to the nature of psychological resources. For that reason, practical mode comes down to the ordinary perspective on curriculum development. Consequently, practical mode initiated by Schwab and Walker calls for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it to escape from the ad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실제적 양식의 근본적인 발상
Ⅲ. 실제적 양식의 방법적 원리
Ⅳ. 실제적 양식의 의의와 한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채형(Chae-Hyeong Prak). (2010).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제적 양식의 공헌과 한계. 도덕교육연구, 21 (2), 231-251

MLA

박채형(Chae-Hyeong Prak).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실제적 양식의 공헌과 한계." 도덕교육연구, 21.2(2010): 231-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