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학」의 세계

이용수 50

영문명
The World of Hsiao-hsueh : Confucian Culture and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권윤정(Yoon-Jung Kwon)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113~1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소학」이 성리학의 도덕이론을 포함하는 도덕교육이론서임을 밝히는 데 있다. 「소학」에는 많은 분량의 행위 진술 이외에도 성리학의 도덕이론에 관한 진술이 들어있다. 「소학」의 이론 진술은 성리학의 관점에서 본 도덕의 근원 및 도덕 이상에 이르는 방법에 관하여 진술한 것을 말하며, 행위 진술은 그 이상을 구현한 聖賢의 언행에 관한 진술을 가리킨다. 이 두 가지 종류의 진술이 「소학」의 체계 안에서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 하는 문제는 「소학」을 이해하는 데에 관건이 된다. 인간이 초월적인 도덕 이상에 이르는 방법은 그 이상의 표현으로서의 성현의 언행을 통할 수밖에 없다. 표현을 통하여 표현 이전의 표준을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 「소학」에 나타난 도덕교육이론의 요체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Hsiao-hsueh as the book of moral education including moral theory in Neo-Confucianism. In addition to a large amount of statement of behaviors, there is the statement of moral theory in Hsiao-hsueh. The theoretical statement refers to sources of morality and the ways to get to the moral ideals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behavioral statement points out the sages words and behaviors which show the moral ideal.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statements within Hsiao-hsueh is the key to understand Hsiao-hsueh. In order to reach the moral ideal,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sages words and behaviors with the moral ideal. The main point of moral education in Hsiao-hsueh is to make the standard prior to the any expression established through its expre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소학」의 도덕교육이론
Ⅲ. 「소학」의 도덕교육이론의 윤리학적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윤정(Yoon-Jung Kwon). (2010).「소학」의 세계. 도덕교육연구, 21 (2), 113-132

MLA

권윤정(Yoon-Jung Kwon). "「소학」의 세계." 도덕교육연구, 21.2(2010): 11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