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탐색

이용수 806

영문명
Explor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민정(Kim, Min-Jeong) 김희영(Kim, Hee-Young) 김남연(Kim, Nam-Yun) 문가영(Moon, Ga-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2권 제3호, 201~2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편의표집하여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유아 대상 원격교육의현주소’,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딜레마’, ‘유아 대상 원격교육을 위한 제안’으로 범주화되었다. 유아대상 원격교육의 현주소는 준비없이 갑자기 시작된 원격교육, 교육의 주체에 대한 혼란, 차용해서 나열하는교육과정 운영으로 나타났다. 유아 대상 원격교육의 딜레마는 원격교육의 부작용, 피할 수 없는 원격교육의시대, 원격교육의 현실과 교육신념간의 간극, 가정의 조력여하에 따른 차이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원격교육체제 마련, 양질의 콘텐츠 개발,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지원, 부모의 원격교육 조력 강화를 위한교육 지원을 제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 대상 원격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내실화를 도모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dista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hich began in response to COVID-19. Nin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stance education in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of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education’, ‘deliberations over distance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distance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with distance education began suddenly without preparation, which caused the state of education currently is in turmoil. They also reported that such situations forced teachers to manage the curriculum manually without any creativity. Teachers’ deliberations on distance education mostly revolve around concerns on the side effects of distance education, acceptance of the era of inevitable distance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distance education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and the necessity of assistance from one’s family. Teachers suggested the provision of a distance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of high-quality contents, and education support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instructors to be considered for distance education. Ways to manage quality programs and insure substantiality for young children’s distance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Kim, Min-Jeong),김희영(Kim, Hee-Young),김남연(Kim, Nam-Yun),문가영(Moon, Ga-Young). (2020).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2 (3), 201-229

MLA

김민정(Kim, Min-Jeong),김희영(Kim, Hee-Young),김남연(Kim, Nam-Yun),문가영(Moon, Ga-Young). "유아 대상 원격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2.3(2020): 201-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