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이용수 163

영문명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Less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은라(Kim, Eun-Ra) 박재국(Park, Jae-Kook) 박선미(Park, Sun-Mi)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0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탐색하고 동시에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 향상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요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수업에 대한 우선 지원 영역과 항목을 알아보기 위한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하여 지속유지 해야 하는 영역은 교수-학습계획, 교수-학습과정, 수업관리 영역이었으며,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아 개선노력이 시급한 항목은 ‘학생의 기능 수준에 따라 과제분석 하기’,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 계획하기’,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자료 선정하기’,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전략,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등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하기’, ‘교육과정(성취기준, 교과용 도서 등) 연구하기’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해 특수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support needs on lesson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Method: 153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and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According to IPA analysis to find out the priority support areas and items for the classes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the areas that should be maintained in the first quadrant were teaching-learning plans, teaching-learning courses, class management, and the areas that are of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urgent for improvement efforts were to Analysis of tasks according to student s skill level , Planning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student s characteristics , Select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 s characteristics , Efforts to improve the class by teaching strategy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nd improving teaching-learning methods , and Studying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xtbooks, etc.).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eaching-learning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라(Kim, Eun-Ra),박재국(Park, Jae-Kook),박선미(Park, Sun-Mi). (2020).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교육혁신연구, 30 (3), 1-21

MLA

김은라(Kim, Eun-Ra),박재국(Park, Jae-Kook),박선미(Park, Sun-Mi). "중도중복장애학생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교육혁신연구, 30.3(2020):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