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468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eam Teaching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임정훈(Leem, Junghoo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0권 제3호, 23~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두 명 이상의 교수자가 공통의 목적을 갖고 교수설계와 개발, 수업운영 및 평가 등을 함께 수행하는 팀티칭 교수법이 대학 융합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융합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보고 팀티칭 교수법이 어떤 의미와 특징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팀티칭 교수법이 대학 융합교육에 활용될 경우 어떤 교육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융합수업을 기획, 설계, 개발,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팀티칭 모형들을 탐색해 본 뒤, 대학에서 어떤 형태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팀티칭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팀티칭을 통해 융합교육을 수행할 경우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관점이나 학제적 시각을 갖도록 해주고 창의적이면서도 융합적으로 문제해결 활동을 수행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융합수업을 위하여 참여교수자 역할 구분에 따른 팀티칭 모형, 수업프로세스 단계에 따른 팀티칭 모형, 그리고 교수활동 분담영역에 따른 팀티칭 모형 등 다양한 유형의 팀티칭 모형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대학 융합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 적용방안으로 융복합 교양교과목 공동개발 및 운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 학제적 접근 기반의 서비스러닝과의 연계, 캡스톤 디자인, 창의적 융합설계 교육에서의 활용, 플립러닝이나 MOOC 활용수업과의 연계 방안 등이 탐색되었다. 논의 및 결론: 끝으로, 융합수업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성공적 적용을 위하여 팀 구성, 수업 설계 및 운영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eam teaching that two or more instructors with their own expertise design,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e instruction together in order to facilitate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explored pros and cons of team teaching, and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different types of team teaching models to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convergence education. Further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eam teaching in colleges or universities.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eam teaching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in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suggested various types of team teaching models according to the professor’s role, instructional process level, and the distribution of instructional activities. Furthermore, collaborativ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liberal arts subjects, joi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s or curriculum for software education, connection with service learning based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use in capstone design or creative convergence-design education, and linkage with flipped learning or MOOC-assisted instruction were suggested as applicable ways of team teaching for facilita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some considerations in selection of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team teac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team teaching we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 대학에서의 융합교육과 팀티칭의 필요성
Ⅱ. 융합교육의 의미와 대학 융합교육의 유형
Ⅲ. 대학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으로서의 팀티칭
Ⅳ. 대학 융합교육 설계 및 운영을 위한 팀티칭 모형들
Ⅴ. 대학 융합교육을 위한 팀티칭 교수법 적용 방안
Ⅵ. 맺음말 : 팀티칭 교수법의 성공적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들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정훈(Leem, Junghoon). (2020).대학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교육혁신연구, 30 (3), 23-51

MLA

임정훈(Leem, Junghoon). "대학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팀티칭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교육혁신연구, 30.3(2020): 2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