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이용수 269

영문명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rt Education Subject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안지연(Jiyoun AHN) 김남연(Namyun KIM)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74호, 161~1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강의자 면담을 통하여 교과목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교과목의 목표는 ‘유아미술교육 의 의미와 목적 이해’,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습득’, ‘유아미술교육 환경 구축 및 유지 능력 함양’이 제시되었으며 이 중 ‘유아미술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습득’이 가장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내용은 크게 이론, 실기, 발표로 나뉘었는데 이론은 ‘유아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미술의 요소와 원리’, ‘유아미술교육 교수학습방법’, ‘환경 구성’으로 구 성되었으며 실기의 경우 유아미술교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료와 기법을 실습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평가는 과제, 지필고사, 발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미술 능력에 대한 평가보다는 수업에의 적용 능력에 대한 평가가 주된 것으 로 나타났다. 실태 파악을 토대로 예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강의를 계획함에 있어서 목표에서 미술에 대한 전문성 향상 을, 내용에서 미술을 알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평가에서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평가를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술교과교육의 개선을 위해 실기 교육에 있어서 내용과 방법에 대한 재고, 미술교 육전문가와 유아교육전문가의 협업, 비교과 프로그램 및 동아리 등을 통한 미술 경험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in art education subjects for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raw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through syllabuses and interviews with lecturers. Study shows that the course objectives are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cquiring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building and maintaining an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ubject are divided into theory, practice and presentation. In the theory, it consists of necessity and purpose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element and principle of art ,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position . In the practice,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used mainly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evaluation consists of homework, written test, and presentation. The main focus of evaluation is the ability to apply art classes rather than art itself. Based on the result, the lecture plan proposes the course objectives for the improvement of art expertise, the content to know and enjoy art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rt expertise requir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art education subjec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rt practice, cooperate with art education exper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increase art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연(Jiyoun AHN),김남연(Namyun KIM). (2020).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조형교육, (74), 161-178

MLA

안지연(Jiyoun AHN),김남연(Namyun KIM). "예비유아교사 대상 미술교과교육 교과목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조형교육, .74(2020): 161-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