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진술 방안

이용수 312

영문명
A Method for Representing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in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윤우(Jung Yun-wo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2권 제4호, 71~9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성취기준의 내용과 인지과정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성취기준은 지식차원에서는 ‘사실적 지식’과 인지과정차원에서는 ‘이해하다’가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일부의 범주에 편중되어 진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군별 성취기준은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학년군의 위계에 맞지 않고, 모호하게 진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역별 성취기준은 지식차원에서 ‘사실적․개념적 지식’ 중심으로 진술되고,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이해하다’ 중심으로 진술되었다.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의 적합한 진술을 위해서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필요하고, 그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과학 개념의 위계 및 연계 등을 위한 교과 내용학적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내용을 재정비하고 최소 필수 학습 내용을 구체화하여 과학과의 핵심 지식의 기준을 제시해야 하며, 성취기준에 사용되는 서술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분류하여 인지과정 유목과 관련지어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지니는 구체적인 의미를 분명하게 구분지어 진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and identify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xt analysis, in particular Bloom’s new taxonomy, were used to build up a framework for achievement standard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in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were the highest in ‘factu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es, and they were stated to be biased in some categories. Second, hierarchies were low and mixed in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of achievement standard by grade group. Third, achievement standards by domain are stated in terms of knowledge in terms of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es in terms of understanding . In order to make a proper statement of th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discussions must first be conducted for the hierarchies and linkages of science concepts that are needed and can be used by special education students. To this end, the science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content should be rearranged and the minimum required learning content should be specified to present the criteria for core knowled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classify the meaning of the predicate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to present the cognitive process chu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윤우(Jung Yun-woo). (2019).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진술 방안.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 (4), 71-91

MLA

정윤우(Jung Yun-woo).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진술 방안."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4(2019): 7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