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이용수 487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Practical Arts and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송승민(Song Seung-min)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2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실과와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수집, 형태소 추출 및 단어 정제, 어휘 및 네트워크 분석, 시각화의 4단계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취기준은 어휘의 다양성과 난이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5, R, UCINET 6,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실과와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은 학년군이 높아질수록 ‘진로직업 역량’과 ‘자기관리 역량’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과와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성취기준은 교과 간 학년군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기준의 어휘 다양성과 난이도는 교과 내에서는 고려되었지만 교과 간에는 고려되지 않았다. 셋째, 실과와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성취기준 어휘는 진로 인식, 진로 탐색, 진로 준비의 진로발달 단계를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개정 시 참고할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practical arts and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this purpos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in four stages: data collection, morphological extraction and word cleansing, vocabulary an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further analyzed the diversity and difficulty of the vocabulary. SPSS 25, R, UCINET 6, and Netdraw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practical arts and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emphasized as ‘career and vocational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Seco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practical arts and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did not take into account cross-curricular characteristics. And, vocabulary diversity and difficulty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considered within the curriculum but not between the subjects.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practical arts,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taken into account in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career recognition,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vis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승민(Song Seung-min). (2019).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 (4), 1-25

MLA

송승민(Song Seung-min).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과, 진로와 직업 교과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4(2019):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