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인식 연구

이용수 462

영문명
The Study on Practic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Math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ised in 2015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필상(Lee Pil-sa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2권 제4호,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과 내용 체계에 대한 인식 및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D광역시의 특수교육 경력 4년 6개월에서 21년 6개월의 특수교사 5명이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을 통해 수집된 결과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요한 주제와 8개의 부주제, 19개의 코드명이 도출되었다. 3개의 주요 주제는 1. 내용 요소 제시 기준에 대한 인식, 2. 내용 체제에 대한 인식, 3. 일반교육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이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요소는 단계 수준별로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 체계에 있어서 시간 배당이 부적절하며, ‘수와 연산’ 영역을 가장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반면,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은 기피하는 영역이고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수와 연산’ 및 ‘도형’ 영역이라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일반교육 수학과와의 연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내용 요소의 단계 수준별 제시, 시간 배당 재량권 강화, ‘수와 연산’ 영역의 강화 및 학습 난이도 조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actical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 math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reversed in 2015.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Recognition of Content Element Presentation Criteria (2) Recognition of content system (3) Recognition of connection with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present the contents elements of the mathematics of the basic curriculum by stage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ed inadequate in time dividen in the content system of the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most intensively teach the numbers and arithmetic areas, while avoiding the data and possibilities and regularity areas. The difficult areas are called the number and arithmetic and shape area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onnection to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general education mathematics, demanding presentation of content elements by stage level, strengthening of time allotment discretion, strengthening the number and arithmetic area, and adjusting the learning difficul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필상(Lee Pil-sang). (2019).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인식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 (4), 49-70

MLA

이필상(Lee Pil-sang).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에 관한 특수교사의 경험적 인식 연구."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2.4(2019):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