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25-Dihydroxyvitamin D₃가 치주인대세포활성 및 실험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The effect of 1,25-dihydroxyvitamin D3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김성우(Sung-Woo Kim) 박동권(Dong-Kwon Park) 김상철(Sang Cheol Kim)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335~34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정치료시 치아이동은 치주인대세포를 매개로 골조직의 개조가 일어나는 과정으로서 골조직의 성장과 개조는 조골세포, 파골세포 및 그 전구헤포의 증식, 분화 및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전신적 인자와 국소적 인자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다. 1,25-Dihydroxyvitamin D3의 대사물로서 경조직에 있어서 칼슘과 인산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주인대에 대한 1,25-Dihydroxyvitamin D3의 생물학적 기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25-Dihydroxyvitamin D3가 치주인대세초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10 25, 50, 100ng/ml농도의 1,25-Dihydroxyvitamin D3를 배양 치주인대세포에 첨가하여 배양 1, 2, 3일 후 M.T.T. 방법으로 세포의 활성을 관찰하였으며,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치주인대 내에 1,25-Dihydroxyvitamin D3를 투여하여 12, 24, 36, 48, 72시간 및 7일 후의 조직 변화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ng/ml, 25ng/ml 농도의 1,25-Dihydroxyvitamin D3를 치주인대세포에 가한 후 배양 1, 2 3일째의 실험군 활성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50ng/ml농도의 1,25-Dihydroxyvitamin D3를 치주인대세포에 가한 후 배양 3일째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100ng/ml농도에서는 배양 2, 3일째에 유의하게 많았다. 3. 백서에 교정력을 가한 후 인장측에서의 골아세포 활성, 치주인대섬유의 파열, 모세혈관 증식은 투여한 7일까지 1,25-Dihydroxyvitamin D3 투여측과 대조측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교정력을 가한 후 36시간부터 1,25-Dihydroxyvitamin D3를 투여한 압박측의 파골세포 활성 및 치조골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50-100ng/ml 농도에서 1,25-Dihydroxyvitamin D3의 농도와 배양기간에 비례하여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25-Dihydroxyvitamin D3가 투여한 36시간 부터 파골세포의 활성과 그에 따른 치조골 흡수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 Vitamin D is known to exert its action by activating DNA and RBA within target cells to produce proteins and enzymes that can be used in bone resorption process. Particularly, the active form of vitmain D, 1,25-dihydroxycholecalciferol [1,25-(OH)2D3],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otent stimulators of osteoclatic acitivity in vi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1,25-Dihydroxyvitamin D3 on the avtivity of periodotal ligament cells and,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were incubated in the environment of 37°C, 5% CO2 and 95% humidity. Microtitration{(MIT) assay was done at 10, 25, 50 and 100ng/ml of 1,25-Dihydroxyvitamin D3. 21 Sprague-Daft ra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mup(3), and experimental groups(18) where 100g of force from helical spring was applied across the maxillary incisors 1,25-Dihydroxyvitamin D3 was injected into periodontal ligament at the mesial or distal surface of maxillary incisors so that we can compare the control side and the experimental side. Expreimental groups were sac rifled at 12, 24, 36, 48, 72hours and 7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respectively. And the obtained tissues were evaluated histologically.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l0ng/ml or 25ng/ml of 1,25-Dihydroxyvitamin D31,25-Dihydroxyvitamin D3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control at the cultivation of 1, 2 and 3 days. 2. The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3 days in 50 ng/ml of 1,25-Dihydroxyvitamin D3 and 2, 3 days in 100g/ml of 1,25-Dihydroxyvitamin D3. 3. Up to 7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osteoblastic activity, tearing of periodontal ligament and proliferation of capillary at tension side between 1,25-Dihydroxyvitamin D3 injection side and the control side. 4. The osteoclastic activity and the resorption of alveolar bone was greater in 1,25-Dihydroxyvitamin D3 injection side than the control side at 36 hours after force appli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우(Sung-Woo Kim),박동권(Dong-Kwon Park),김상철(Sang Cheol Kim). (1997).1,25-Dihydroxyvitamin D₃가 치주인대세포활성 및 실험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335-347

MLA

김성우(Sung-Woo Kim),박동권(Dong-Kwon Park),김상철(Sang Cheol Kim). "1,25-Dihydroxyvitamin D₃가 치주인대세포활성 및 실험적 치아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335-3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