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악 전치 intrusion 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location of center of resistance during intrusion of upper anterior teeth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박춘근(Chun-Keun Park) 양원식(Won-Sik Ya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259~27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Segmented arch mechanics를 적용하여 상악 전치에 intrusive force를 가할 때 저항중심의 전후방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상악 6전치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Intrusion시키고자 하는 치아의 수, 치축의 경사도 및 치조골의 흡수 정도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축 경사도와 치조골의 높이가 정상일 경우, 치아의 수에 따른 저항중심부의 위치는 다음과 같았다. 1) 중절치 2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 브라켓의 원심면 부위에 위치하였다. 2) 중절치와 측절치 4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측절치와 견치 브라켓 사이 공간의 후방 2/3 부위에 위치하였다. 3)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6개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견치 브라켓 후방 약 3mm부위로 견치와 제 1소구치의 치간부에 위치하였다. 4) 치아의 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특히 4전치군 보다 6전치군에서 후방 이동량이 크게 나타났다. 2. 절치의 순측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3. 치조골의 흡수량이 증가할수록 저항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locate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upper anterior teeth when intrusive forces are acted on them by applying segmented arch mechanics. Three-dimensional finite elernent model of upper six anterior teeth,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was constructed The locations of the center of resistance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hree variables, which are number of teeth contained in anterior segment, axial inclination of anterior teeth, and degree of alveolar bone lo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When the axial inclination and alveolar bone height were normal, the locations of center of resistance of anterior seg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eth contained were as follows; 1). In 2 teeth segment,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the distal area of lateral incisor bracket 2) In 4 teeth segment,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the distal 2/3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rackets of lateral incisor and canine. 3) In 6 teeth segment,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located in 3mm distal of canine bracket, which is interproxirnal area. between canine and 1st premolar. 4) As the number of teeth contained in anterior segment increased,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to the distal side. 2. As the labial inclination of incisors increased,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to the distal side. 3. As the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to the distal sid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춘근(Chun-Keun Park),양원식(Won-Sik Yang). (1997).상악 전치 intrusion 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259-272

MLA

박춘근(Chun-Keun Park),양원식(Won-Sik Yang). "상악 전치 intrusion 시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259-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