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악 전돌증 환자의 구내 하악골 상행지 골절단술전후의 하악골 운동양상 및 저작근 근전도 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pre-and post-surgical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and EMG in skeletal Class Ⅲ prognathic patients who underwent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박영철(Young-Chel Park) 황충주(Chung-Ju Hwang) 유형석(Hyung-Seog Yu) 한희경(Hee-Kyung Han)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283~29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악구강계는 측두하악관절, 근육신경계, 치아, 그리고 지지조직의 복합적구성체로 되어있어 다양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밀접한 생리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하악은 저작근을 보함한 여러 근육들을 운동원으로 하여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들 근기능의 활성도는 치근막을 비롯한 악관절과 근육등의 여러가지 형태의 수용기를 거쳐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의 복잡한 경로와 지전에 의해서 조절되어지는데, 교정치료, 특히 교정을 동반한 악교정 수술시에 는 이러한 악구강계의 변화와 구강내 여러감각 수용기의 변화, 근활성도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며, 이는 하악골의 기능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최근 급증하는 악교정수술환자의 하악골 근육의 생리적 활성도나 하악골의 운동변화를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인 술전 및 술후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Biopak을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와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악교정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기능 양상을 총괄적으로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간의 근활성도 비교시 resting시에는 술전군이 정상군에 비해 더 큰 근활성도를 나타내었고, 수술후 그 측정치가 접차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clenching시에는 술전군의 교근과 전측두근의 근활성도가 정상군에 비해 더 감소되어 있었고 수술후 다시 증가하여 수술전화 술후 6개월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차가 관찰되었다. 2. 각 근육 활성도 간의 비교시 resting시에는 전측두근의 활성도가 나머지 근육에 비해 다소 증가된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고, clenching시에는 모든group에서 전측두근과 교근의 활성도가, swallowing시에는 악이복근의 활성도가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며 크게 나타났다. 3. 하악운동범위의 비교시 전반적으로 술전군에서 제한된 운동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최대개구량은 술후 6개월에, 전방 운동량은 술후 3개월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영문 초록

Stomatognathic system is a complex one that is composed of TMJ, neuromuscular system, teeth and connective tissue, and all its components are doing their parts to maintain their physiological relationships. Mandible, in particular,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mastication, speech, and deglutition, the muscular activities that determine such functions are signalled by numerous types of proprioceptors that exist in periodontal membrane, TMJ, and muscles to be controlled by complicated pathways and mechanics of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Orthodontic treatment, especially when accompanied by orthognathic surgery, brings dramatic changes of stornatognat is system such as intraoral proprioceptors and muscle activities and thus, changes in patterns of mandibular function result The author tried to analyze changes in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and physiologic activities of surrounding muscles in Skeletal Class III ortlrognathic surgery patients who presently show a great increase in nu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ome objective guidelines in evaluating funclierual aspect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Mandibular functional analysis using Biopak was performed for skeletal Class III prognathic patients who underwent IVRO( l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m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Resting EMG was greater in pre-surgic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it showed gradual decrease after the surgery. Clenching EMG of masseter and anterior temporalis of pre-surgical group was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y also increased post-surgically,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e-surgical and post-surgical(6 months) groups. 2. Resting EMG of anterior ternporalis was greater than that of all the other musc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lenching EMG of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 muscles with statistical difference. In swallowing, digastric muscle showed the highest EMG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3. Limited range of mandibular movement was shown in pre-surgical group. Significant increase in maximum mouth opening was observed six months post-surgically, and significant increase in protrusive movement was observed three months post-surgical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철(Young-Chel Park),황충주(Chung-Ju Hwang),유형석(Hyung-Seog Yu),한희경(Hee-Kyung Han). (1997).하악 전돌증 환자의 구내 하악골 상행지 골절단술전후의 하악골 운동양상 및 저작근 근전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283-296

MLA

박영철(Young-Chel Park),황충주(Chung-Ju Hwang),유형석(Hyung-Seog Yu),한희경(Hee-Kyung Han). "하악 전돌증 환자의 구내 하악골 상행지 골절단술전후의 하악골 운동양상 및 저작근 근전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283-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