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Cephalometric study on head postu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황충주(Chung-Ju Hwang) 김석현(Suk-Hyun Kim) 길재경(Jae-Kyung Kil)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221~23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 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와 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 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교정환장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 기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1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1 II에 비해 C1 III 에서 설골이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1 I, II, III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타나내는 ANB, Wist 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 할 수 없었다. 5. C1 II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extension)은 Björk Sum, ANB와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C1 II 와 C1 III 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과 NSL/VER은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known that head posture may influence directly and/or indirectly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morphology and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 funtional demand of physiologic activity. It was reported that facial morphology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hyoid bone position and head posture. In many previous studies, Natural Head Posture(NHP) was guided, and also it was shown that NHP has high degree of reproducibility. Otherwise, There was few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head posture, with routine cephalometric film which is used for clinical orthodontic purpos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Wits and ANB of initial cephalometric film which was taken with vertical pendulum as representative of true vertical reference line. We classified the subjects which is comprised of 60 adult female patients into Class 1, II, III (Cl I, II, III)and we tr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found the followigs. 1.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lower than that of Cl II. 2. In comparison of anteriorpostes or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ervical column.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more anterior than that of a II 3.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mand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umoug the groups of malocclusion. 4. ANB and Wi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yoid bone position. 5. The relative extension of head, which was noted in Cl II, showed negative with Sum, ANB. 6. In Cl II and Cl III, Post to Ant facial h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SL/V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충주(Chung-Ju Hwang),김석현(Suk-Hyun Kim),길재경(Jae-Kyung Kil). (1997).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221-230

MLA

황충주(Chung-Ju Hwang),김석현(Suk-Hyun Kim),길재경(Jae-Kyung Kil).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221-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