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편악수술과 양악수술시 술후동태에 대한 비교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surgical changes between one jaw surgery and two-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Ⅲ patients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최양숙(Yang-Sook Choi) 손우성(Woo-Sung Son)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297~31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산대하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총 42명중 하악에만 수술을 받은 환자 18명과 상하악에 동시에 수술을 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진,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 6개월 경과후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채득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여 계측하였다. 골격, 치아 및 연조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수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편악수술군과 양악수술군에서 비교하여 술전교정치료에 지침이 될 수 있는 상하악절치의 경사도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직후 양악수술군에서는 상악골 및 상악전치, 상순의 전방과 상방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 양군 모두에서 하악골 및 하악절치는 후방이동하였고 하순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나 두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고 전안모고경은 양악수술군에서 던 많이 감소되었다(P<0.05). 수술 6개월 경과후 편악수술군에서 상악절치가 1.44mm전방이동하였고, 하악절치와 하악골도 각각 1.26mm, 1.43mm 전방이동하였으나 양악수술군에서는 유의한 경조직의 변화가 없었다. 2.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가 0.70, 0.73, 0.70이었고 변화율은 79%, 80%, 82%였다.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3, 0.94였고 변화율은 89%, 101%였다. 편악수술군에서는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73, 0.83이었고 변화율은 92%, 104%였다. Pog과 Pog´ Me와 Me´ 사이의 수평적 변화율은 양군 모두 1:1이었다. 3.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0.72, 0.76, 0.75, 변화율은 각각 57%, 58%, 59%였다. 하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양악수술군에서 0.93, 0.90, 편악수술군에서는 0.71, 0.89였고 변화율은 양악수술군에서 76%, 87%, 편악수술군에서 75%, 85%였다. 4. 편악수술군에서 악골의 전후방 부조화 상하악절치 경사도사이에 FMIA = 57.48 - 2.17 ANB, U1-SN = -75.02+2.17 SNB의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63, 0.63이었다. 양악수술군에서는 SNB와 FMIA, SNB 및 ANB와 U1-SN사이에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나 결정계수가 0.13에서 0.19사이로 낮아 유의성은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hard tissue change after surgery between the one jaw and two-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and to get the reference of the incisal inclination at presurgical orthodontics. For this study 24 patients for the two-jaw surgery group and 18 patients for one jaw surgery group were selected.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t pretreatment,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immediately after surgical treatment and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They were traced and analyzed on skeletodental structure and soft tiss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surgery, maxilla, maxillary incisors and upper lip were moved anteriorly and superiorly in two-jaw surgery group. Mandible and mandibular incisors were moved posteriorly and superiorly, and thickness of lower lip was increased in both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terior facial height was more decreased in two-jaw surgery group (p<0.05). At least 6 months after surgery, by the postorthodontic treatment, maxillary incisors were moved labially 1.44mm, mandible and mandiibular incisors were moved lingually 1.43mrn, 1.26mm respectively in one jaw surgery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hard tissue in two :jaw surgery group.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axillary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high in two jaw surgery group and the ratios for soft tissue to A point were 19% at Sri, 80% at SLS, 82% at LS. The ratios for soft tissue to B point were 92% at Ll, 104% at iiS in one jaw surgery group, 89% at LI, 101% at ILS in two-jaw surgery group.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hange ratios of mandibular incisors and LL HS on lower lip horizontal changes were 0 0.89 and 75%, 85% in one jaw surgery group, 0.93, 0.90 and 76%, 87% in two-jaw surgery group.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maxillary incisors and Sn, SLS and LS on upper lip horizontal changes were 072, 0.76 and 0.75 in two jaw surgery group and ratios of changes were 57%, 58% and 59%. 4. The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skeletal horizontal discrepancy and incisal inclinaton were taken in one jaw surgery group. Those were FM1A=57.48-2.17ANB, U1-SN=-75.02+2.17SNB and R2 were 0.63, 063 respectively. So if there is skeletal horizontal discrepancy by mandibular prognathism in one jaw surgery case, we consider attaining more labial inclination of maxillary incisors than normal and more lingual inclination of mandibu ar incisors than nonnal. But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regression equations in two jaw surgery group was low, so, that equation was not reliabl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양숙(Yang-Sook Choi),손우성(Woo-Sung Son). (1997).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편악수술과 양악수술시 술후동태에 대한 비교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297-313

MLA

최양숙(Yang-Sook Choi),손우성(Woo-Sung Son).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편악수술과 양악수술시 술후동태에 대한 비교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297-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