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이용수 6

영문명
Cephalometr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treatment methods in Class Ⅲ malocclusion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백형선(Hyoung-Seon Baik)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197~20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각 환자의 문제점들과 상태를 다양한 진단방법들을 동워나여 분석한 후에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초진시에 치성 또는 골격성인 원인들의 감별이 분면한 증례에서는 치료계획 수립이 큰 문제가 없지만, 감별이 모호한 증례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각 치료방법을 적용하여 치료한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2명(남:253, 여:229)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D군은 가철성 교정장치나 악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115명(남:64, 여:51), A군은 악정형 장치로 치료한 210명(남:111, 여:99), B군은 고정식 교정장치로 Camouflage 하여 치료한 63명(남:30, 여:33), C군은 악교정 수술로 치료한 94명(남:48, 여:46)이었다. 초진시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전후방, 수직적, 치성, 악골의 형태학적인 계측항목들을 선정하여 각 군에서 측정한 계측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네 군간의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각과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B, Wits,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B점까지의 거리,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의 값은 C, A, B, D군의 순이었지만 A군과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하전안며고경의 값이 남자에서는 C ,B, A, D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에서는 C와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3. 남자에서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 하악체의 길이와 Symphysis의 길이는 C, B, A, D순으로 나타났으나 B군과 A군사잉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자에서는 Ramus height, 하악체 길이,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제 길이의 비율이 네군에서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Symphysis의 길이는 C군과 B군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상악전치 치축은 C, B, A, D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네 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Nasolabial angle의 값은 C, A, B, D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C와 A, B, D군 간에서만 나타났다.

영문 초록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can be approached with many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methods, and thus, each patient´s problems must be accurately evaluated to allow selection of the best possible treatment method. Cephalometric analysis is an essential part of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orthodontic patients, and it would certainly be helpful if reliable cephalometric guidelines could be set. The author divided 482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253 mates and 229females) into four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methods they have received to correct imbalance between upper and lower jaws: 1) orthopedic appliance (face mask & RPE), 2) camouflage treatment with fixed appliance, 3)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4) cross-bite correction with removable plates/ functional appliance. Cephalometric values at the time of first clinical examination were compare among the four groups. Cephalometric analysis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1)the amounts of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skeletal discrepancies and dental compensation were greatest in surgery group 2) SNB, Wits, distance from Nasion Perpendicular Plane to point a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nd APDI were greater in orthopedic appliance group than fixed appliance(camouflag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3) removable plates/ functional appliance group showed least amounts of skeletal discrepancies and dental compens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형선(Hyoung-Seon Baik). (1997).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197-208

MLA

백형선(Hyoung-Seon Baik). "제 Ⅲ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197-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