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 젊은여성의 심미적인 안면 연조직 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cephalometric analysis on esthetic facial soft tissue of Korean young adult female
발행기관
대한치과교정학회
저자명
우제경(Je-Kyung WOO) 권오원(Oh-Won KWON) 성재현(Jae-Hyun SUNG)
간행물 정보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제27권 제2호, 245~25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7.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구에서 활동하고 있는 모델과 심미적인 안모를 가졌다고 추천받는 68명의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 X-선 사진, 정모 사진과 측모 실루엣 사진을 채득하였다. 두부 X-선 사진의 연조직 측모선만을 사용한 3명씩이 측모 실루엣 FH plane이 평행하게 한장에 그려서 제작한 사진을 경북대학교 미술학과 재학생 7명과 교정 전고의 15명에게 평가하게 하였으며 정모 사진은 교정 전공의만 평가하게 하였다. 아주 좋은 경우를 9점, 종느 경우를 7점, 보통인 경우를 5점, 좋지 않은 경우를 3점으로 처리토록 하였다. 측모실루엣에서 교정 전공의와 미대생의 심미안간의 상관관계, 교정 전공의가 평가한 정모와 측모의 심미성간의 상관관계, 교정 전공의가 평가한 측모 실루엣의 평균 점수가 5점 이상인 38명의 측모 계측항목과 측모 심미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모 실루엣에서 교정 전공의와 미대생의 심미안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있게 나타났다(r=0.67, P=0.0001). 2. 교정 전공의가 평가한 정모와 측모의 심미성간의 상관관계는 유의성있게 나타났다(r=0.26, P=0.0381). 3. 측모 실루엣과 상관관계가 유의성있게 나타난 항목은 Na-Pog, to N´, BNV to Pog´, BNV/B´ -Pog´, Ls-Li-Pog´, Li-B´-Pog´ Z angle이었다(P<0.05). 4. 측모 계측항목의 평군치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영문 초록

Cephalometric radiographs, frontal photographs and profile silhouette phogographs of 68 young adult female who were model or were recommended to have esthetic face were used in this study. 7 Students in department of Art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15 orthodontists estimated profile slides which were made of 3 Profile silhouettes in parallel with FH plane. Profile silhouettes were made of soft tissue profile line of cephalometric radiograph. Only orthodontists estimated frontal photographs. Students and orthodontists score 9 in excellent case, score 7 in good case, score 5 in average case, score 3 in poor cas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thodontists´ esthetic concept and Artists´ esthetic concept, between frontal view esthetics and profile view esthetics which estimated by orthotontists, between profile view esthetics and profile measurements which consisted of measurements of 38 female who were scored above 5 mean score in profile silhouette by orthodontists were done. And the finding in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1. Correlation between orthodontists´ esthetic concept and Artists´ esthetic concept in profile silhouette was significant (r=0.67,P=0.0001). 2. Correlation between frontal view esthetics and profile view esthetics which estimated by orthodontist was significant (r=0.26,P=0.0381). 3. Measurements which ha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ofile measurements and profile view esthetics wer Na-Pog, to N´, BNV to Pog´, BNV/B´ -Pog´, Ls-Li-Pog´, Li-B´-Pog´ Z angle(P<0.05). 4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ofile measurements of 38 female were obtain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제경(Je-Kyung WOO),권오원(Oh-Won KWON),성재현(Jae-Hyun SUNG). (1997).한국인 젊은여성의 심미적인 안면 연조직 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 (2), 245-258

MLA

우제경(Je-Kyung WOO),권오원(Oh-Won KWON),성재현(Jae-Hyun SUNG). "한국인 젊은여성의 심미적인 안면 연조직 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7.2(1997): 245-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