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구사귀기 캠프의 효과성 평가
이용수 3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카운슬러협회
- 저자명
- 이시형 김은정 김미영
- 간행물 정보
- 『상담과지도』제37호, 261~2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소년들에게 친구관계는 깊은 의미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중요한 사회적 관계이다. 친구는 학원, 독서실을 오가는 공부파트너일 뿐만 아니라, 함께 여가를 즐기는 놀이 친구, 진로를 함께 고민하는 정서적 지지자이기도 하며, 유행 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정보제공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원만한 친구관계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필수 요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친구관계에 어려움을 갖는 청소년들은 다양하고 심각한 문제를 겪고 있다. 성적 하락, 왕따, 등교거부 등의 학교부적응 문제, 우울증, 자살 등의 심리적 문제뿐만 아니라 비행 등의 행동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Bagwell, Newcomb, Bukowski, 1998; Parker & Asher, 1987). 또한 성인기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도 영향을 미쳐 친구관계에 어려움이 있었던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캠프 프로그램 개발
Ⅳ. 결과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복한 교실을 위한 홍익인간 교육의 홀리스틱 접근 : 홍익하는 청소년의 영성적 비전 지도를 위한 Holistic Workshop
- 지역사회 청소년 상담기관의 실제와 연계체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현장 연구 : 안양지역 7개 청소년 상담기관을 중심으로
- 대학입시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성격유형과 직업선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메타모델을 활용한 상담기법
- 미국 대학 진로상담센터의 모델분석 : 한국대학에의 적용 및 시사점
- 친구사귀기 캠프의 효과성 평가
- 감수성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인터넷 과다사용 예방을 위한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
- 원예치료의 이해와 적용
- 교사 진로지도능력 개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 성을 살려내는 청소년 상담에 대하여
- Self-Counseling 기법을 통한 인간관계 향상전략
- 학생상담 자원봉사자를 통한 진로집단상담이 남자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 MBTI를 활용한 교사 : 학생간의 성격역동 이해
- 미래사회청소년과 카운슬링의 방향
- 게슈탈트 집단상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