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령 여성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63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이준영(견명)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1권, 75~8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는중고령여성의노화불안과심리적안녕감간의관계에서자기자비의조절효과를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위하여40대이상의 여성359명을연구대상으로노화불안, 자기자비, 심리적안녕감을주요내용으로하는설문조사를실시하고수집된자료에대하여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위계적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본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본연구의주요변인 들의상관관계를살펴본결과, 노화불안은자기자비, 심리적안녕감과유의미한부적상관이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심리적안녕감과유의미한정적상관이있는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여성의노화불안과심리적안녕감의관계를자기자비가조절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연구결과를바탕으로중고령여성의자기자비증진에대한불교상담적관점의시사점을제언하였다는데본연구의의의 가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59 women in their 40s or older, focusing on aging anxiety,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ag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elf-compassion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implications from a Buddhist counseling perspective on promoting self-compass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및논의
Ⅵ.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정신혁명으로서의 명상: 켄 윌버의 통합이론과 선불교의 의식 변형을 중심으로
- MMPT적용 명상놀이와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비교연구-아동의 불안, 마음챙김, 자기조절 중심으로
- 60대 여성 직장인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 경험 탐색: 화엄경의「보현행원품」을 중심으로
-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N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음공부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Mind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이장(二障)에 대한 법상유식의 논의 고찰:『성유식론』과 『 대승법원의림장』의 내용을 중심으로
- 영화 오펜하이머를 둘러싼『바가바드 기타』인용구 논쟁과 해석
- 중고령 여성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