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N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57
- 영문명
-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in N City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안민혁 안세윤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1권, 85~9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연구에서는중학생을중심으로부모양육태도와학교생활적응의관계에서자아존중감의매개효과를검증함으로써상담·교육현장에 서중학생의발달과정에따른정서적변화의이해를위한기초자료를마련의목적으로실시되었다. 이를위해N시에위치한중학교재학생 389명을대상으로설문을실시하고SPSS 23.0과PRECESS Macro의Model4를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매개효과를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첫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학교생활적응은유의미한정적상관을, 부정적부모양육태도와학교생활적응은유의미한부적상 관을나타냈다. 둘째, 긍정적부모양육태도가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에서자아존중감은부분매개효과를나타냈다. 셋째, 부정적부모 양육태도가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에서자아존중감은부분매개효과를나타냈으나, 낮은설명력으로해석에주의가필요하여자아존 중감수준에따른집단(상위25%, 중위50%, 하위25%)으로구분하고추가분석결과, 각집단의부정적부모양육태도는개인의자아존중감 정도에따라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영향이달라질수있음을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바탕으로제한점및후속연구를위한제언에대해논 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emotional chang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ounseling and education field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It has been don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89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N C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Model 4 of PRECESS Macro. The research result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life adjustment, but caution is needed in interpretation due to low explanatory power, so groups according to self-esteem level (top 25%, middle 50%, bottom 25%), and as a result of addition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ach group'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level of self-este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및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정신혁명으로서의 명상: 켄 윌버의 통합이론과 선불교의 의식 변형을 중심으로
- MMPT적용 명상놀이와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비교연구-아동의 불안, 마음챙김, 자기조절 중심으로
- 60대 여성 직장인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 경험 탐색: 화엄경의「보현행원품」을 중심으로
-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N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 마음공부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Mind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이장(二障)에 대한 법상유식의 논의 고찰:『성유식론』과 『 대승법원의림장』의 내용을 중심으로
- 영화 오펜하이머를 둘러싼『바가바드 기타』인용구 논쟁과 해석
- 중고령 여성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