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노년기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Older Hypertension Pati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방소연(So Youn Ba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0호, 119~12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노년기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중·노년기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2022년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과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만 40세 이상 고혈압 환자 3,396명을 대상으로 multiple linear regression과 quanti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노년기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은 평균 0.88(±.10)점이고, 삶의 질 하부문항 중 문제없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영역은 자기관리(90.2%)이며, 가장 낮은 영역은 통증/불편감(54.1%)이었다.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연령,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 여부, 규칙적인 신체활동, 스트레스, 자살생각, 주관적 건강상태, 동반질환, 장애 유무는 삶의 질이 하위 25%, 중위 50%, 상위 75%의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음주상태(p=.034)와 고혈압 진단시기(p=.022)는 하위 25%, 성별은 중위 50%(p=.030)와 상위 75%(p=.019), 체질량지수(p=.024)는 상위 75% 집단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삶의 질에 관한 관심과 함께 삶의 질 수준이 하위 25% 집단은 음주상태와 고혈압 진단시기, 중위 50% 집단은 성별, 상위 75% 집단은 성별과 체질량지수에 초점을 맞춘 차별화된 중재를 개발 및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older hypertension patient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The 2022 Korean Health Panel data was used, and 3,396 hypertension patients over the aged of 40 who had no missing values in quality of life and major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quantile regression. As a result, the averag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older hypertension patients was 0.88(±.10). Among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ge, spouse presence, economic activity, regular physical activity, stress, suicidal thoughts, subjective health status, number of comorbidities, and dis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in all three groups, whereas drinking status(p=.034) and timing of hypertension diagnosis(p=.022) were significant in the bottom 25%, gender was in the middle 50%(p=.030) and top 75%(p=.019), and body mass index(p=.024) was significant in the top 75%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long with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of hypertension patients,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hat focus on drinking status and time of hypertension diagnosis for the bottom 25% group, gender for the middle 50% group, and gender and body mass index for the top 75%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APEX 리스크평가 가이드라인을 활용한 수상레저기구 위해요소조사
-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인문학적 소양이 전문 직업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건설현장 고령근로자의 건강실태 분석
-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건설업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S 건설사를 중심으로 -
- 영상 AI기반 공유형 PM(Personal Mobility) 불법주정차 검지시스템 도입의 경제성 평가 - 서울시 강남구 중심으로 -
- 고속도로 운행선 작업자 사고 요인 및 안전에 관한 연구 - 작업자, 관리자, 운전자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 안전한 물 사용을 위한 노후 상수도관 교체 필요성과 재원확보방안
- 중·노년기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
-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를 통한 테러대상시설 안전관리체계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탑승식 청소차 재해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