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nfluence of Knowledge of Standard Precaution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양진주(Jin Ju Ya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0호, 15~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간호대학생의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는 임상실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18일까지 2개 지역의 4개 간호대학 3, 4학년 학생 중 중환자실습을 마친 17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표준주의 지식점수는 백분위로 평균 85.5점이고, 하위영역 중 가장 높은 점수는 개인보호구 착용(95.9점)이고, 가장 낮은 점수는 환경관리(71.5점)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백분위로 77.3점으로 하위영역 중 가장 높은 점수는 전문직 자아개념(88.6점)점이고, 가장 낮은 점수는 사회적 인식(70.1점)으로 나타났다.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은 백분위로 평균 85점으로 하위영역 중 가장 높은 점수는 안전보호 및 감염예방관리(90.8점)이고 가장 낮은 점수는 중환자 부착기구 모니터링(76.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관의 하위영역 중 간호실무역할,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표준주의 지식의 하위영역 중 환경관리 순으로 나타냈고,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대해 4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갖춰야 할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은 개별적으로 중요한 요소일 뿐만아니라 서로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간호실무현장에서 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임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습교육시 간호전문직관과 표준주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임상실습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기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standard precautions,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among nursing students who has experienced critical care practice experience. Additionally, it sough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70 nursing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two reg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from December 4 to December 18, 2023.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nowledge score for standard precautions was 85.5 points on average as a percentage, with the high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e (95.9 points) and the lowest score in environmental management (71.5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 values 85.5 points on average as a percentage, with the high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88.6) and the lowest score in social awareness (70.1 points). The mean score for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was 85 points on average as a percentage, with the high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safety protection and infection prevention management (90.8 points) and the lowest score in the subdomain of critical care device monitoring (76.7 point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s'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were identified as the subdomain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e roles of nursing service,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soci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s the subdomains of standard precautions in that order, explaining 43% of the variance in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knowledge of standard precautions,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that nursing students should have are not only important factors, but also have close inter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can act integrally in nursing practice. Therefore, a strategy to improve critical care nursing performance confidence is needed by positively 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rough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s that strengthen standard precautions education for infection prevention in critical care practice and strengthen knowledg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s the subdomains of standard preca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분석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진주(Jin Ju Yang). (2025).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15-28

MLA

양진주(Jin Ju Yang).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지식, 간호전문직관이 중환자간호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5): 1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