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설업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S 건설사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and Health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Company - Focusing on S Construction Company -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형우(Hyung Woo Kim) 이준원(Joon Won Lee) 김재형(Jea Hyung Kim) 조호동(Ho Doung Cho)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0호, 41~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한민국 정부는 산업재해를 줄이고자, 법적 규제 강화 방안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재해 발생률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S건설사를 대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안전보건전략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S건설사의 3개년 산업재해 데이터 220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산업재해에 유의미한 독립변수로 요일별, 작업시간대별, 공정률별, 연령별, 근속기간별, 경력별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독립변수를 ANOVA분석(일원배치법)을 활용하였으며 Tukey HSD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별 분석결과 요일별(p=1.83E-06), 작업시간별(p=8.91E-23), 공정률별(p=1.4E-17), 연령별(p=1.08E-21), 근속기간별(p=8.99E-10), 경력별(p=5.28E-19) 유의한 값을 도출했고, 사후검정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첫째, 특정 요일에는 작업환경개선프로그램이 필요하였다. 둘째, 특정 시간대는 관리감독을 강화하여야 했다. 셋째, 공정률에 따라 관리 감독계획을 수립하여야 했다. 넷째, 연령에 체력검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했다. 다섯째, 근속기간에 따라서 신규 근로자의 빠른 적응을 지원하여야 했다. 마지막으로 경력에 따른 맞춤형 안전교육을 제공하여야 했다. 향후 건설사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보건전략을 수립, 실행함으로써 산업재해 예방효과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s a regulatory measure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has not shown a significant decline. This study develops practical safety and health strategies for S Construction Company by analyzing 220 industrial accident cases over three year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dentified six key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industrial accidents: day of the week, work time, construction progress rate, worker age, length of service, and work experience. Thes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Tukey HSD post-hoc test was conducted to validate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independent variable, by day of the week (p=1.83E-06), by working hours (p=8.91E-23), by process rate (p=1.4E-17), by age (p=1.08E-21), by period of service (p=8.99E-10), and by experience (p=5.28E-19),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confirmed by post-test. Through these results, first, a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 was needed on a specific day. Second, management supervision had to be strengthened for a specific time period. Third, a management supervision plan ha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ublic welfare rate. Fourth, a physical fitness test program had to be operated at age. Fifth, it was necessary to support the rapid adaptation of new workers according to the period of service. Finally, it wa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career. In the future, construction companies expect the effect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afety and health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우(Hyung Woo Kim),이준원(Joon Won Lee),김재형(Jea Hyung Kim),조호동(Ho Doung Cho). (2025).건설업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S 건설사를 중심으로 -. 안전문화연구, (), 41-58

MLA

김형우(Hyung Woo Kim),이준원(Joon Won Lee),김재형(Jea Hyung Kim),조호동(Ho Doung Cho). "건설업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S 건설사를 중심으로 -." 안전문화연구, (2025): 4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