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인문학적 소양이 전문 직업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Nurses Job Stress and Humanities Literacy on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송남경(Nam Gyeong Song) 홍선연(Sun Yeun Ho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0호, 29~4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G지역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220명의 간호사로, 2023년 4월 28일부터 5월 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인문학적 소양(r=-.47, p<.001) 및 공감만족(r=-.32,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진(r=.45, p<.001)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r=.33,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인문학적 소양은 공감만족(r=.32,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소진(r=-.45, p<.001) 및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r=-.33,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소진은 직무 스트레스와 인문학적 소양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 두 요인의 설명력은 21.6%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무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중재 및 예방적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문학적 소양 강화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병원 및 국가 차원에서 인문학 교육을 강화하고, 간호사를 위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20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in G region,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28 to May 3,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umanistic literacy (r=-.47, p<.001) and compassion satisfaction (r=-.32, p<.001), while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r=.45, p<.001)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r=.33, p<.001). Additionally, humanistic liter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passion satisfaction (r=.32,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burnout (r=-.45, p<.01)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r=-.33, p<.001). Specifically, burnout was influenced by job stress and humanistic literacy, and these two factors explained 21.6% of the variance in burnou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ducing job stress is crucial for improving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interventions and preventive management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is. Moreover, strengthening humanistic literacy can help reduce job stress and, ultimately, improv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is, there is a need for increased humanistic education at both the hospital and national level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ress management programs for nur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남경(Nam Gyeong Song),홍선연(Sun Yeun Hong). (2025).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인문학적 소양이 전문 직업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안전문화연구, (), 29-40

MLA

송남경(Nam Gyeong Song),홍선연(Sun Yeun Hong).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인문학적 소양이 전문 직업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안전문화연구, (2025): 29-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