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허정보를 활용한 안전보호구의 기술발전 및 융합특성분석 - 떨어짐 재해예방 안전보호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43

영문명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Safety Protective Equipment Using Patent Data : Focusing on Fall Prevention PP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윤종훈(Jong Hun Yun) 이준원(Joon Won Lee) 어원석(Won Souk Eoh) 김진규(Jin Kyu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9호, 145~16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떨어짐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호구(안전모, 안전화, 안전대) 기술의 발전과 융합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원동향, 기술융합, 출원인 유형, 특허 영향력 등을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윕스온(wipson.com)을 통해 안전보호구 관련 특허데이터를 수집하고 출원인(개인, 기업, 공공), 융합기술 여부 등을 분류하였다. 또한 특허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특허영향지수(PII)를 활용하여 보호구별, 출원인별, 공동연구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이후 IoT, 스마트센서, 데이터통신기술이 안전보호구에 접목되면서 출원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물리학(G군) 및 전기(H군) 기술과 융합된 특허의 출원이 2015년 이후 급증하였으며, 기업 간 협력 출원의 특허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모가 가장 활발한 기술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출원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보호구 기술이 연구 중심에서 상업적 가치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안전보호구 기술이 단순한 보호기능을 넘어 스마트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보호장비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업 주도의 연구개발과 협력출원이 보호구 기술의 질적 향상을 촉진하는 핵심요인으로 작용하며, 향후 안전보건정책 및 산업현장에서의 실용적 도입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산업안전분야에서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국제특허 동향 비교 및 산업현장 실증연구를 병행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기술발전전략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protective equipment technologies (safety helmets, safety shoes, and safety harnesses) to prevent fall-related accidents in industrial workplaces. Domestic patent data were examined to assess trends in applications, technological convergence, applicant types, and patent influence. Data were collected via WIPS ON and categorized by applicant type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Patent Impact Index (PII) was used to evaluate patent quality across protective equipment types, applicants, and collaborations. The results show a sharp rise in patent applications after 2010, driven by IoT, smart sensors,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ies. Since 2015, patents integrating physics (G-class) and electrical (H-class) technologi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rporate collaboration patents showing higher technological impact. Safety helmets exhibit the most active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corporate applications are becoming dominant, shifting the focus from research to commercializ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rotective equipment is evolving into intelligent safety devices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Corporate-led R&D and collaborative applications are key drivers of this transform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industrial safety research by providing an empirical analysis of patent trends.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international patent trends and conduct field validation to refine technological advancement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종훈(Jong Hun Yun),이준원(Joon Won Lee),어원석(Won Souk Eoh),김진규(Jin Kyu Kim). (2025).특허정보를 활용한 안전보호구의 기술발전 및 융합특성분석 - 떨어짐 재해예방 안전보호구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145-160

MLA

윤종훈(Jong Hun Yun),이준원(Joon Won Lee),어원석(Won Souk Eoh),김진규(Jin Kyu Kim). "특허정보를 활용한 안전보호구의 기술발전 및 융합특성분석 - 떨어짐 재해예방 안전보호구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145-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