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키즈존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

이용수 2

영문명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 for No Kids Zon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정우영(Woo Young Jeong) 문가영(Ga Yeong Mu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9호, 99~11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동의 권리와 관련하여 노키즈존이 이슈가 되고 있다. 예비영유아교사는 추후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권리를 실현하는 주체 이기에, 예비영유아교사가 노키즈존과 아동의 권리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영유아교사의 노키즈존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영유아교사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와 두 차례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 이루어졌다. 면담자료는 질적 내용분석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영유아교사의 노키즈존에 대한 인식은 ‘경험했지만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노키즈존을 무조건 반대합니다, 거북하지만 노키즈존 은 필요합니다’로 나타났다. 노키즈존 관련 교육적 요구는 ‘부모, 영유아, 사회구성원 모두를 대상으로, 차별과 혐오가 아닌 배려와 사랑이 확대되도록, 눈높이에 맞는 상황중심의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권리 를 존중하는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먼저 예비영유아교사가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는 주체자로서 역량을 증진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자녀양육에 대한 개선과 공공장소 에티켓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차별과 혐오없는 공동체를 마련하기 위한 사회적 인식개선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No-Kids Zones have become an issue regarding children’s rights. Preservice teachers are the ones who realize children’s rights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at perceptions preservice teachers have regarding No-Kids Zones and children’s right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 No-Kids Zone. To this end, nine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S University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wo in-depth interviews each from March to June 2024.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o-Kids Zone was found to be 'Experienced, but I don't know yet, I unconditionally oppose the No-Kids Zone, it's uncomfortable, but a No-Kids Zone is necessary'. The educational demand related to the No-Kids Zone appeared as 'a situation-oriented education that meets the eye level so that consideration and love are expanded, not discrimination and hate, for parents, infants, and members of soc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move toward a society that respects children's rights. First,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as subjects who respect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child rearing and parental education on etiquette in public places. It is require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to create a community free of discrimination and hate.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law to promote children’s righ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영(Woo Young Jeong),문가영(Ga Yeong Mun). (2025).노키즈존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 안전문화연구, (), 99-114

MLA

정우영(Woo Young Jeong),문가영(Ga Yeong Mun). "노키즈존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 안전문화연구, (2025): 9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