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 밖 여자 청소년의 자립 과정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 이성과의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13

영문명
A Single Case Study on the Independence Process of Out-of-Home Female Adolescents : Focusing on Romantic Relationship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송연주(Yeon Joo So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9호, 13~3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 과정을 이성과의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립 과정에 있는 여자 가정 밖 청소년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특정 현상,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례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단일사례 연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 과정은 ‘혹독한 자립을 시작하다’, ‘의지할 누군가가 필요하다’, ‘진정한 홀로서기를 꿈꾸다’로 범주화되었다. ‘혹독한 자립을 시작하다’의 범주는 ‘무작정 세상으로 나오다’와 ‘벼랑끝에 서다’로, ‘의지할 누군가가 필요하다’의 범주는 ‘남자친구 없이는 못 살다’와 ‘이별의 힘듦으로 일상이 깨어지다’,‘연애를 망치는 건 바로 나였구나’의 상위주제로 구분되었다. ‘진정한 홀로서기를 꿈꾸다’의 범주는 ‘과거에서 벗어나 현실을 살아가다’로 나타났다.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를 그대로 안고 있는 이들이 혼자라는 현실속에 느끼는 심리적 결핍과 박탈감은 누군가와 끊임없이 불안정한 관계를 맺게 했고, 이는 자립 과정에 긍정적이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 속에서도 참여자는 성장해나가고 있었다.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로 위태로운 삶을 살아나가겠지만, 그 과정은 분명 어둡지만은 않았다. 본 연구는 세상에 홀로 내던져서 살아가야 하는 가정 밖 청소년의 이성 관계 경험을 바탕으로 자립과정에 대해 심도있게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dependence process of out-of-home female adolescent,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romantic relationships. To do this, a single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a female out-of-home adolescent undergoing the independence process. This approach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specific phenomena, issues, and situations while providing rich information about the case. The findings categorized the independence process of out-of-home female youth into three main themes: ‘embarking on a harsh journey of independence,’ ‘needing someone to rely on,’ and ‘dreaming of true self-reliance.’ The category ‘embarking on a harsh journey of independence’ was further divided into the subthemes ‘blindly stepping into the world’ and ‘standing on the edge of a cliff.’ The category ‘needing someone to rely on’ included the subthemes ‘unable to live without a boyfriend’, ‘daliy life shattered by the pain of breakup.’ and ‘realizing that I was the one ruining my relationships’. The category ‘dreaming of true self-reliance’ comprised the subthemes ’breaking free from the past and living in reality.‘ The psychological deficiency and deprivation felt by those who carry the wounds inflicted by their parents in a reality where they are alone led them to form continuously unstabl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dynamic acted as both a positive and negative factor in their process of becoming independent. However, despite the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grow. Although they will continue to live precarious lives in an unstable state, the process is not entirely dark.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plores the independence process of out-of-home female adolescent who must navigate life on their own, using their experiences in romantic relationships as a le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연주(Yeon Joo Song). (2025).가정 밖 여자 청소년의 자립 과정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 이성과의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13-31

MLA

송연주(Yeon Joo Song). "가정 밖 여자 청소년의 자립 과정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 이성과의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1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