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장환경 일치성과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istency of Store Environment and Consumer Behavior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곽문강(Wenqiang Guo) 지희진(Hee Jin Ji) 강기두(Gi Du Ka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39호, 115~1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객은 최종구매결정을 위해 시각, 청각, 촉각 등 여러 감각을 통해서 매장분위기를 체험하며, 이러한 매장환경은 고객의 경험으로 이어져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소비행동이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그 발생빈도와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Mehrabian & Russell(1974)은 구축한 M-R 모델을 기반으로 적절한 매장환경을 조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환경일치성(일치vs불일치)과 개인 성격특성인 감각추구성향(높음vs낮음)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 각성의 매개효과 및 실용적 쇼핑가치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예비조사실시 후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웹서베이를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는 SPSS 24.0와 신뢰성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진행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2-way ANOVA와 Process macro model (SPSS)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장의 환경일치성이 높아질수록 소비자가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일치성과 감각추구성향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각성반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환경일치성이 높을 때 감각추구성향이 강한 소비자는 각성 수준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각성은 매장의 환경 일치성과 소비자 행동(접근-회피행동 및 매장평가)간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환경 일치성과 실용적 쇼핑가치간의 상호작용이 매장평가에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접근-회피행동에서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매장환경 일치성에 대한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Customers experience the store atmosphere through various senses such as sight, hearing, and touch to make a final purchase decision, and this store environment leads to the customer's experience and greatly affects consumption. Considering tha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Mehrabian & Russell (1974) created an appropriate store environment based on the established MR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sistency (consistency vs inconsistency) and sensory pursuit tendency (high vs low), a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was ver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rousa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actical shopping value were examined, and a web survey was conducted by reconstructing the questionnair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The analysis tool was conducted with SPSS 24.0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pplying 2-way ANOVA and Process macro model (SPS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consistency of the store,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consumers will show positive behavior.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sistency and sensory-seeking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arousal response, and consumers with strong sensory-seeking tendency were more affected by the level of arousal, especially when environmental consistency was high. Third, arousal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environmental consistency and consumer behavior (approach-avoidance behavior and store evaluation).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sistency and practical shopping value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store evalua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in access-avoidance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ore environmental consistency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매장환경 일치성과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
- 웃음커뮤니케이션프로그램이 보건의료계열대학생의 웃음지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건설현장 5대 건설기계 작업이 안전사고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기술 매개효과 검증
- 건설업 스마트 안전의 도입 활성화를 위한 안전관리비 계상 명확화와 법·제도 간 상호인정 유연성에 관한 연구
- 가정 밖 여자 청소년의 자립 과정에 관한 단일 사례 연구 - 이성과의 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 특허정보를 활용한 안전보호구의 기술발전 및 융합특성분석 - 떨어짐 재해예방 안전보호구를 중심으로
- 건설현장에서 안전의 4요소가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노키즈존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
- 외벽 유지보수공사 안전관리활동이 근로자의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달비계 안전작업지침 교육을 중심으로
- 패션 이커머스 플랫폼에서의 지각리스크와 정보가 신뢰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판결문을 활용한 스토킹 잠정조치 위반자의 재범 특성과 위험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