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8

영문명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n Safety Behavio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 Safety Competence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최윤석(Yoonseok Choi) 채희선(Heesun Cha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9호, 83~9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10차 산업안전보건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사업장의 안전문화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안전문화와 관리감독자의 안전역량이 조직수준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관리감독자 안전역량의 조절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조 및 서비스업 총 4,430개 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델(SEM)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4개 하위차원, 14개 문항의 안전문화측정지표를 도출하였으며 하위차원의 평균값으로 안전문화수준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사업장의 안전문화 평균(4.33점/5.00점)은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안전문화와 관리감독자의 안전역량 모두 조직구성원의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관리감독자의 안전역량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간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특정산업군에 편중되었던 연구대상을 제조업과 서비스업 분야로 확장하여 기업의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간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였고 국내 사업장의 안전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관리감독자의 안전역량강화가 기업안전문화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dex to measure the safety culture of workplace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10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analyz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supervisor safety competence on organizational-level safety behavior, and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 safety competence.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data from 4,430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the SPSS PROCESS MACRO.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yielded a safety culture measurement scale comprising four sub-dimensions and 14 items,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sub-dimensions were used to assess the level of safety cultur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safety culture score of workplaces in Korea was 4.33 out of 5.00, indicating a high level. Both safety culture and supervisor safety competence had positive effects on employees' safety behavior, with managerial safety competence showing a moderating effect by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research scope, previously focused on specific industries, to include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thereby confirm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employees' safety behavior. Additionally, it presents a scale to estimate the safety culture level of workplaces in Korea.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strengthening supervisor safety competence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석(Yoonseok Choi),채희선(Heesun Chae). (2025).기업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83-97

MLA

최윤석(Yoonseok Choi),채희선(Heesun Chae). "기업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안전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8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