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설현장에서 안전의 4요소가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Four Elements of Safety on Fire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백혜영(Hye Young Back) 박종용(Jong Yong Park) 김상화(Sang Hwa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39호, 71~8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9년 12월 산업안전보건법이 전면 개정되어 화재감시자에 관한 조항이 신설되었고, 안전관리자의 선임기준이 강화되었다. 2022년 12월부터 화재안전기준을 성능·기술기준으로 이원화하여 소방시설법이 시행되었고, 2023년 2월부터 건축물의 마감재는 준불연성능 이상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는 법이 개정되었다. 이처럼 제도적 원인이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사망자 3명 이상의 대형화재사고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적, 기술적, 관리적, 제도적 요소를 더한 ‘안전의 4요소’가 건설현장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 건설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리자, 근로자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총 48문항의 질문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Jamov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문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설문데이터로 빈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적 요소는 화재사고 예방에 무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기술적·관리적·제도적 요소는 화재사고 재해발생 저감 가설에 채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현장에서 안전의 4요소가 화재사고를 저감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고사망재해의 안전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n December 2019,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as comprehensively revised, introducing new provisions for fire watch personnel and strengthening the criteria for appointing safety managers. In December 2022, the Fire Services Act was implemented, dividing fire safety standards into performance-based and technical standards. Since February 2023,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must meet at least quasi-fire-resistant performance standards. This prompted the research question of how recent amendments to related laws might impact fire acciden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rge-scale fire accident cases with three or more fatalities that occurred in the past five years. The study will examine how the ‘four elements of safety’—educational, technical, managerial, and institutional—affect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35 managers and workers working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survey consisted of 48 questions. The analysis method involved using the Jamovi program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items, conducting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on the survey data, and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educational elem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but technical, managerial, and institutional elements were found to support the hypothesis of reducing fire accident incidents. This study concludes the four elements impact reducing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혜영(Hye Young Back),박종용(Jong Yong Park),김상화(Sang Hwa Kim). (2025).건설현장에서 안전의 4요소가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71-82

MLA

백혜영(Hye Young Back),박종용(Jong Yong Park),김상화(Sang Hwa Kim). "건설현장에서 안전의 4요소가 화재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5): 7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