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인류의 가족 규정에 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E. 레비나스를 통한 미래 인류의 새로운 가족 규정과 유사 인간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대가능성의 모색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Family Definition of Human in the Future Post/Transhumanism Era : Searching for the New Family Definition of Future Human and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for Pseudo-Human Family Members through M. Heidegger and E. Levina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저자명
- 이관표(Kan-Pyo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철학』제41호, 409~4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에 나타나게 될 미래의 인류, 미래의 가족 규정, 그리고 그 가족 구성원의 범위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가까운 미래에 나타날 전통가족관의 해체와 붕괴의 문제에 주목하면서, 하이데거(M. Heidegger)와 레비나스(E. Levinas)의 사유 안에서 이 문제의 진단과 미래 가족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단초를 발견하고자 한다. 여기서 말하는 단초란 첫째, 하이데거의 ‘Es gibt’ 해석과 ‘존재의 줌’에 의지하여 한국적 ‘식구(食口)’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미래적 가족개념을 새롭게 규정하는 것이고, 두 번째 레비나스의 ‘타자’와 ‘얼굴의 벌거벗음’에 주목함으로써 미래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비인간구성원에 대한 무조건적 환대를 제안하는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인류 혹은 유사 인간생명체가 공존하게 될 트랜스휴머니즘 시대를 맞이하게 될 때, 기초공동체로서의 가족은 더 이상 혈연공동체 안에만 제한될 수 없으며, 오히려 전통적 의미의 가족공동체는 전적으로 해체될 것이다. 이러한 해체적 상황 안에서 미래의 가족공동체는 기본적 욕구와 필요를 ‘(내어) 주고 (기꺼이) 받는 식구(食口)’, 즉 식탁공동체와 ‘미안함과 감사함의 기초공동체’ 개념으로 새롭게 규정되어야 하며, 나아가 새로운 규정 안에서 미래 가족 구성원으로의 인정과 환대의 영역은 새로운 생명, 새로운 인류 및 유사 인간생명체, AI, 휴먼로봇 등으로까지 확장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비록 우리에게는 낯설지라도, 자신들의 희생을 통해 여전히 나를 존재하게끔 해주는 타자들이며, 그래서 환대받아야 하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deals with future humanity, future family definition, and the range of family member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post/transhumanism era. To this end,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roblem of dissolution and collapse of the traditional family view that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diagnosis of this problem within the thoughts of M. Heidegger and E. Levinas, and the beginning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future family. The beginning mentioned here is, first, to redefine the concept of a future family by reinterpreting the Korean concept of ‘family’ based on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Es gibt’ and ‘Giveness of Be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other’ and ‘the nakedness of the face’, it proposes unconditional hospitality for non-human members as future family member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When we enter the era of transhumanism in which new human beings or pseudo-human beings coexist, the family as a basic community can no longer be limited to the blood community, rather the family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sense will be completely dismantled. In this disorganized situation, the future family community must be newly defined as a ‘give-and-receive family’, that is, a table community and a ‘basic community of sorry and gratitude’ for basic desires and needs. The realm of recognition and hospitality as a member should be extended to new life, new humanity and similar human lifeforms, AI, and human robots. This is because, although they are unfamiliar to us, they are the others who still allow me to exist through their sacrifices, so they are the ones who should be welcom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의 전망과 가족의 위기
Ⅲ. 하이데거 ‘줌’의 사유와 새로운 가족 규정
Ⅳ. 레비나스의 타자윤리학과 미래의 낯선 가족 구성원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 미래 포스트/트랜스휴머니즘 시대 인류의 가족 규정에 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E. 레비나스를 통한 미래 인류의 새로운 가족 규정과 유사 인간가족 구성원에 대한 환대가능성의 모색
- 기독교 윤리학에서 사랑과 정의 - 아가페 윤리학에 대한 대안적 접근
- 칸트 철학에서 하나님 나라의 의미
- 키르케고르 작품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의 본질로서의 채무 의식
- 『존재와 시간』에 나타난 반복(Wiederholung)과 『반복』에 나타난 Kierkegaard의 반복(Gjentagelsen)의 의미 분석
- 『성 바울』을 통해 본 알랭 바디우의 주체 이론
- 평양 숭실의 철학 교수들 - 편하설·채필근·박치우를 중심으로
- 다산( 茶山 )의 『대학( 大學 )』 - 레게(J. Legge)와 게일(J. Gale)의 영역본과 비교하여
- 인간의 조건으로서 괴델문장과 반기계론의 위기
- 에큐메니칼 운동 “삶과 일”에서 경제윤리에 대한 연구 - 1925년 제1차 스톡홀름 세계대회를 중심으로
- 신-인 관계 토대로서 심-미적 실존 연구 - 키에르케고어의 미적 실존에 슐라이어마허의 의존감정을 잇댐으로써
- 에스겔 34장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접근한 선한 사마리아인 비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신정론은 신학적 실수인가? 하우어워스의 실천적 신정론 읽기
- 비폭력과 ‘종교적인 것’: 간디이즘(Gandhiism)에 나타난 종 교의 공공성
-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에 있어서 homoiosis theo - praxis와 theoria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